2024 | 09 | 16
23.3℃
USD$ 1,335.3 -0.6
EUR€ 1,479.6 -5.4
JPY¥ 921.8 7.4
CNH¥ 187.6 -0.0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완성차 4개 사 임단협 마침표…홀로 남은 기아는

  • 송고 2024.09.06 14:44 | 수정 2024.09.06 14:45
  • EBN 박성호 기자 (psh@ebn.co.kr)

르노코리아도 6일 투표 돌입…오늘 결론

기아, 현대차 수준 제시에도…노조 "꼼수 말라"

9일, 9차 본교섭 속개…추석 전 타결 노력


ⓒ기아

ⓒ기아

르노코리아 노조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 투표에 돌입하고, 이날 결론을 도출한다. 같은 날 기아 노사는 9차 본교섭을 열어 이견 좁히기에 나선다. 사측이 현대차 수준의 임금을 제시했음에도 노조의 몽니가 계속되고 있어 교섭이 길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은 추석 전 타결을 목표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6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르노코리아 노조는 이날 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 투표에 돌입했다. 투표는 6일 단 하루 동안 진행되며, 찬반 투표에서 과반이 잠정합의안에 찬성하면 2024년 임단협은 최종 타결된다.


르노코리아 노사 잠정합의안의 주요 내용은 기본급 7만3000원 인상, 신차 '그랑 콜레오스' 성공 출시금 300만원 지급 등이다.


이번 잠정합의안 타결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이번 잠정합의안을 도출하기 전부터 노사 양측의 공감이 컸기 때문이다. 르노코리아는 신차 부재 등 영향으로 4년간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노사 모두 4년 만의 신차 그랑 콜레오스를 선보여 시장 반전을 일으키겠다는데 공감했다는 후문이다.


앞서 9월 초에는 한국지엠 노사와 KG모빌리티 노사 또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 최종 타결에 성공했다. 이로써 국내 완성차 5개 사(현대자동차·기아·GM 한국사업장·KG모빌리티·르노코리아) 중 4개 사가 올해 임단협 마무리에 성공했다.


완성차 업계는 하반기에 돌입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024년 자동차산업 상반기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부품을 포함한 수출액을 역대 최대 실적인 980억달러로 예상했다. 그러나 임금 협상 난항으로 부분 파업 리스크가 하반기를 덮쳤다. GM 한국 사업장은 부분 파업 여파로 7~8월 두 달간 생산량이 반토막 났다.


게다가 고금리 여파가 이어지며 글로벌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글로벌 신차 수요가 빠르게 내려앉으며 수출도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7~8월 5개사 완성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가량 감소했다. 자동차와 반도체가 대표하는 국내 수출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파업 리스크 해소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기아 노사 또한 이날 오후 1시부터 9차 본교섭을 속개했다. 임금 부문에서는 큰 이견이 없지만, 단체협약에서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고 실적 최대 보상' 원칙에 따라 기아는 현대차 노사 합의안에 준하는 임금 안을 제시했다. 현대차 노사는 ▲기본급 11만2000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 ▲성과금 500%+1800만원 ▲주식 25주 지급 등을 합의한 바 있다.


기아도 노조에 기본급 11만2000원 인상 ▲성과금+특별 성과금 500% 및 1800만원 등을 제안했으며, 노조는 해당 안에 어느 정도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협약 부문에서는 사측이 국내외 공장의 정리해고와 희망퇴직 과정에서 ‘노사 합의’를 거치도록 한 기존 단협 조항을 ‘노사 협의’로 변경하려는 데 반대하고 있다.


또한 ▲해외 생산 차종 해당 국가 이외 국가로 수출 ▲국내공장 물량 해외공장 병행 생산 ▲엔진, 변속기 국내 공장 우선 양산 조항 삭제 등을 문제삼으며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양측 모두 접촉 시기를 앞당기며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는 양측 교섭에 이견이 커 추석 전 타결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기아 노사가 최근 3년 연속 무분규로 임단협을 마무리한 만큼, 올해도 무분규로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선도적 역할을 하는 자동차 업계의 임단협이 빨리 마무리돼 노사관계가 점점 더 성숙해지고, 근로자들의 고용안정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길 기대한다"며 "업계가 상생의 협력적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미래차 전환과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