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07
23.3℃
코스피 2,569.71 8.02(0.31%)
코스닥 768.98 6.85(0.9%)
USD$ 1,320.1 13.2
EUR€ 1,456.5 10.4
JPY¥ 899.5 -10.8
CNH¥ 188.2 1.3
BTC 84,204,000 331,000(0.39%)
ETH 3,283,000 25,000(0.77%)
XRP 716.8 1.6(-0.22%)
BCH 435,400 1,450(0.33%)
EOS 638.8 2.3(0.36%)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4대 그룹 전경련 복귀 임박…새출발 ‘한경협’ 기대

  • 송고 2023.08.21 15:41 | 수정 2023.08.21 15:42
  • EBN 이남석 기자 (leens0319@ebn.co.kr)

삼성전자 이사회, 전경련 회원 승계 승인…나머지 계열사도 금명간 이사회

SK, 이사회서 전경련 복귀 현안 보고…현대차·LG그룹도 복귀 검토 돌입

전경련, 기관명 ‘한경협’으로 변경 새출발…“소통 창구 필요 vs 정경유착 우려” 찬반 팽팽

[출처=연합]

[출처=연합]

삼성전자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재가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4대 그룹(삼성·SK·현대자동차·LG)의 전경련 가입 복귀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4대 그룹이 전경련에 복귀하면 삼성과 SK, 현대 그룹은 2017년 탈퇴 이후 6년 6개월 만에 전경련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과거 국정농단 사건 당시 가장 먼저 전경련에서 탈퇴한 LG그룹은 6년 8개월 만에 복귀하게 된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이사회는 지난 18일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회의 직후 열린 임시 이사회에서 전경련 회원 승계 문제를 논의해 승인했다.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증권 등 다른 계열사도 금명간 각 회사 이사회에서 관련 사안을 논의한 뒤 재가입 여부를 전경련에 통보할 예정이다.


앞서 삼성 준감위는 두차례 임시회의 끝에 “삼성의 준법 경영 의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일 관계사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가입을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으면 즉시 탈퇴할 것 등 필요한 권고를 했다”고 밝혔다.


삼성은 국정농단 수사 중이던 2017년 2월 전경련을 탈퇴했지만 삼성전자를 비롯한 5개 계열사는 산하 기구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회원사 자격을 유지 중이다. 삼성이 한경연 회원사 자격을 승계하면 전경련은 임시총회를 통해 전경련 회원사 가입 여부를 결정한다.


초미의 관심사였던 삼성의 전경련 복귀 시나리오가 본격화되면서 4대 그룹의 재가입 가능성에도 힘이 실리게 됐다. 이미 다른 그룹들도 이사회를 통해 주요 경영진과 복귀 문제를 다룬 것으로 전해졌다.


SK그룹도 계열사(SK·SK이노베이션·SK텔레콤·SK네트웍스) 지난주 이사회에서 전경련 복귀 현안을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사들을 대상으로 전경련 회원 자격 이관에 대한 내부 검토 상황을 공유하고 의견을 듣는 작업에 착수했다.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현대건설·현대모비스·현대제철)은 내부 검토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LG그룹G(LG·LG전자)은 논의 절차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4대 그룹은 전경련 재가입 복귀가 확정될 경우 회비 납부 등 문제는 추후 이사회에서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정경유착 고리 오명 ‘전경련’…美 ‘헤리티지재단’ 벤치마킹 거론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 가능성이 커지면서 새 출발을 앞둔 전경련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과거 정경유착 고리의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 조직 명칭을 변경하고 새 출발을 도모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오는 22일 임시총회를 열고 한경연을 흡수·통합하고 55년만에 기관명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초대 회장으로는 류진 풍산그룹 회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낸바 있는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한경협 고문역을 맡을 예정이다.


전경련은 “새로 출범하는 전경련의 후신이 다시 한경협이라는 이름을 갖는 것은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국가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겠다는 의지의 반영”이라고 밝혔다.


재계에서는 글로벌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정부와 재계간 소통을 지원할 창구가 필요하다는 여론도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나 반도체 지원법, 중국의 핵심 원자재 수출통제 등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리스크가 산적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새 출발을 다짐한 전경련이 벤치마킹할 조직으로 미국의 헤리티지재단이 거론되기도 한다. 헤리티지재단은 1973년 설립된 이후 정치, 경제, 외교,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싱크탱크로 성장했다. 과거 국정농단 사태 당시 40대 그룹을 대상으로 한 ‘전경련 발전 모델’ 설문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한편 4대 그룹이 전경련 복귀 절차를 밟는 것과 관련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과거 정경유착의 폐해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 추진에 대한 비판이 확산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삼성 준감위의 ‘조건부 재가입’ 권고 이후 성명을 내고 이를 비난했다.


경실련은 “정경유착을 근절해야 할 준감위가 전경련에 손을 들어줬다”며 “이번 결정으로 그 존재 목적을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69.71 8.02(0.3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07 06:23

84,204,000

▲ 331,000 (0.39%)

빗썸

10.07 06:23

84,205,000

▲ 413,000 (0.49%)

코빗

10.07 06:23

84,210,000

▲ 415,000 (0.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