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19
23.3℃
코스피 2,580.80 5.39(0.21%)
코스닥 739.51 6.31(0.86%)
USD$ 1,331.0 -4.3
EUR€ 1,479.6 0.0
JPY¥ 934.5 12.7
CNH¥ 187.2 -0.4
BTC 84,361,000 3,540,000(4.38%)
ETH 3,269,000 155,000(4.98%)
XRP 784.2 14.1(1.83%)
BCH 454,400 34,900(8.32%)
EOS 667.6 26.3(4.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건설사 안전대책 ‘무색’…도입 이후에도 사망사고 여전

  • 송고 2024.09.05 14:10 | 수정 2024.09.05 14:20
  • EBN 이병우 기자 (news7251@ebn.co.kr)

최근 3주간 근로자 5명 목숨 잃어…2곳이 대형사

잇따른 근로자 사고에 건설현장에선 불안감 고조

아파트 건설 현장, 기사와 무관. ⓒ연합뉴스

아파트 건설 현장, 기사와 무관. ⓒ연합뉴스

국내 건설사들이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고삐를 죄고 있지만 전국 곳곳에서 사망사고 소식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10대 건설사로 불리는 대형사의 시공현장에서도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근로자들의 불안감은 더욱 확산하는 모양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강동구 천호동 건설현장에서 20대 근로자가 전류에 감전돼 숨지는 등 최근 3주간(8월12일~9월2일)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는 무려 5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 원인은 추락이 4건으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서울 강동구 천호동 아파트 공사현장 1명 △서울 용산구 국방부 영내 국방홍보원 신청사 건설 현장 1명 △인천 서구 왕길동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 1명 △전북 익산시 창인동 익산역 부지 내 휴계 건물 외벽 도색 현장 1명 △부산 영도구 아파트 공사 현장 1명 등으로 총 5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무엇보다 5건의 사고 발생 중 2건이 10대 건설사인 대형건설사로 파악되면서 건설현장에 대한 불안감은 업계 내에 더욱 확산하는 분위기다. 대형사들이 근로자 안전을 위해 '안전관리 대책', '특별점검', '안전점검' 등 각기 다른 방법으로 안전관리감독을 실시하고 있으나, 무색하게도 근로자 사망사고는 되레 증가해서다.


실제 고용노동부 '2024 2분기 산업재해 현황'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건설업 사고사망자는 130명을 기록했다. 통계적으로는 작년(147명)보다 17명(11.6%) 줄었지만, 이는 건설업황 부진으로 착공 현장이 감소하면서 사망자 수가 함께 줄어든 '착시효과'로 분석된다.


한 노조 관계자 A씨는 "최근 2년간 근로자 사망사고를 나타내는 관련 지표가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 기간 건설 착공 실적은 2005~2022년 연평균 대비 반 토막 수준에 머물러 있다. 착공 현장은 50%가, 사망자는 11%가 줄었는데, 근로자 사망사고가 감소했다고 볼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얘기했다.


A씨는 "근로자 안전을 위한 중처법(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2년여가 지났지만, 현장에서 근로자 사망사고 소식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대형사는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해도 (작년처럼) 청문회만 진행할 뿐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근로자 안전을 위한 법령과 현장 교육을 더욱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 큰 문제는 사망사고 발생률이 향후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건설현장 내의 내국인 감소로 외국인 비중은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전용 교육 등은 갖춰져 있지 않아서다. 아울러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히는 소통에 대한 문제가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건설업 외국인 사고사망자 수는 356명 중 55명으로 15.44%의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건설업 사망자·402명, 외국인·47명, 비중·11.69%) 3.75%가 증가한 수치다.


건설업 관계자 B씨는 "건설현장 주요층으로 불리던 청년들이 건설업에 유입되지 않으면서 그 자리를 외국인 근로자들이 대체하는 중"이라며 "근로자들이 다양한 국가에서 오다 보니 문화·언어 등이 모두 다르다. 이에 대한 어려움도 함께 동반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80.80 5.39(0.2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19 22:25

84,361,000

▲ 3,540,000 (4.38%)

빗썸

09.19 22:25

84,366,000

▲ 3,519,000 (4.35%)

코빗

09.19 22:25

84,409,000

▲ 3,558,000 (4.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