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06
23.3℃
코스피 2,569.71 8.02(0.31%)
코스닥 768.98 6.85(0.9%)
USD$ 1,320.1 13.2
EUR€ 1,456.5 10.4
JPY¥ 899.5 -10.8
CNH¥ 188.2 1.3
BTC 84,450,000 400,000(0.48%)
ETH 3,306,000 38,000(1.16%)
XRP 720.3 2.7(0.38%)
BCH 437,700 100(-0.02%)
EOS 645.7 0.9(-0.1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작년 613만명 거주지 이동…서울 떠난 인구 60% ‘경기’로

  • 송고 2024.01.30 14:50 | 수정 2024.01.30 14:51
  • EBN 임서아 기자 (limsa@ebn.co.kr)

[제공=연합]

[제공=연합]

지난해 전국에서 약 613만명이 거주지를 옮겨 이동했다. 고령화 탓에 이동이 활발한 젊은 층이 감소하면서 이동자 수와 이동률이 약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전국 이동자 수(전입신고 기준)는 612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4%(2만3000명) 줄었다.


이동자 수는 2021년(-6.7%), 2022년(-14.7%)에 이어 3년째 전년 대비 줄고 있다. 2022년에는 주택 시장 침체 영향으로 100만명이 넘게 감소한 바 있다. 이동자 수 규모는 1974년 529만8000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왔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0%로 전년과 유사하다. 지난 1972년(11.0%) 이후 51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다.


인구 이동이 감소하는 주된 원인은 고령화다. 연령대별로 인구이동률을 살펴보면 20대(22.8%)와 30대(20.1%)에서 높고 60대 이상에서는 7% 이하로 낮다.


전년과 비교해도 60대(-0.4%p), 70대(-0.4%p), 80세 이상(-0.4%p) 순으로 감소했다. 30대(1.2%p), 10세 미만(1.2%p), 40대(0.2%p)에서는 늘었다.


전체 인구이동 사유를 보면 주택(34.0%), 가족(24.1%), 직업(22.8%) 순이다. 총 이동사유의 80%가량을 차지한다. 다른 사유로는 교육(5.7%), 주거환경(5.1%) 등이 있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곳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4만5000명), 인천(3만4000명), 충남(1만6000명) 등 5개 시도다.


반대로 서울(-3만1000명), 경남(-1만6000명), 부산(-1만1000명) 등 12개 시도에서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됐다. 서울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다.


작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 가운데 60.5%는 경기로 향했다.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도 전출 1순위 지역이 경기였다. 대구와 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와 전남 등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시도 간의 전입·전출이 많았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4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전년보다 순유입이 1만명 증가했다. 수도권에는 2017년(1만6000명)부터 7년째 인구가 순유입되고 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69.71 8.02(0.3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06 23:56

84,450,000

▲ 400,000 (0.48%)

빗썸

10.06 23:56

84,460,000

▲ 392,000 (0.47%)

코빗

10.06 23:56

84,455,000

▲ 416,000 (0.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