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19
23.3℃
코스피 2,573.77 1.64(-0.06%)
코스닥 735.16 1.96(0.27%)
USD$ 1,331.0 -4.3
EUR€ 1,479.6 0.0
JPY¥ 934.5 12.7
CNH¥ 187.2 -0.4
BTC 82,837,000 1,368,000(1.68%)
ETH 3,213,000 79,000(2.52%)
XRP 782.9 4.1(0.53%)
BCH 458,050 33,950(8.01%)
EOS 664.5 15.3(2.36%)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직방, 서울 고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가격 상승…전국 격차 확대

  • 송고 2023.09.18 09:07 | 수정 2023.09.18 09:07
  • EBN 김창권 기자 (kimck2611@ebn.co.kr)

지난해 말부터 올 8월까지 전국 6.1% 상승…서울은 8.1% 올라

침체기 지나자 아파트 대기수요가 서울 및 수도권에 몰려

시도별 아파트 평균가격 및 상승률. 직방

시도별 아파트 평균가격 및 상승률. 직방

올해 아파트 시장의 가격 반등과 함께 수도권 위주의 고가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해제되면서 지역간 아파트 가격 격차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불평등의 정도를 정량화하는 ‘지니계수’를 주택 시장에 도입해 전국 아파트 가격격차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8월 말 기준 0.441p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의 상대적인 가격 격차를 보여주는 지니계수는 2020년 10월 0.462p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하락해 2022년 12월 0.426p까지 떨어졌는데, 2023년 들어 아파트 가격 반등과 함께 격차 또한 다시 커진 것이다.


1개월의 시차는 있으나 거의 동시기에 가격지수와 지니계수가 반등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올해 전국 아파트 시장은 비싼 아파트의 가격이 더 빠르게 오르며 전체적인 가격 상승을 주도하는 국면이라고 직방은 분석했다.


또한 8월 말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26.1p로 집계됐다. 이는 하락기 이후 저점을 기록한 2023년 1월의 118.4p에 비해 약 6.5% 상승한 것이다. 그러나 전고점이었던 2021년 11월의 147.9p에 비하면 14.7% 낮은 수준이다.


현재 전국 아파트 가격 격차가 확대된 것은 지역별 아파트 가격 반등 속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격차가 다시 커지기 시작한 2022년 12월의 시도별 아파트 평균가격과 2022년 12월부터 2023년 8월까지의 시도별 가격 상승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국 평균(+6.1%)보다 더 빠르게 가격이 상승한 곳은 세종(+10.4%), 경기(+8.3%), 서울(+8.1%), 인천(+6.3%)이었으며 그 중 서울, 세종, 경기의 아파트 평균가격(2022년 12월)은 전용 84㎡ 기준 각각 10.4억원, 5.2억원, 5.1억원으로 전국 평균인 4.8억원보다 높았다.


반면 대전을 포함한 다른 대부분의 시도들은 아파트 평균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고 상승률도 낮았다. 전체적으로 인천과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곳이 상승률도 더 높았고, 반대로 가격이 저렴한 곳은 상승률이 낮다는 패턴을 보인 것이다.


서울 내 아파트 간 가격 격차 패턴은 전국 시장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가격지수의 흐름은 2021년 11월 141.5p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하락했고, 2023년 들어서 반등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전국과 유사했다.


전국 아파트 가격의 상대적인 격차가 꾸준히 감소한 2021-2022년, 서울의 경우 오히려 격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아파트 가격 하락기였던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서울 아파트 지니계수는 0.299p에서 0.328p까지 상승했다. 이는 2022년 시장 침체기 당시 서울 안에서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금천, 도봉구 등 지역에서 하락세가 더 컸고, 반대로 강남, 서초, 용산구와 같이 가격이 비싼 지역의 하락세는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이라고 직방 측은 분석했다.


올해 전국 아파트 시장은 서울, 경기, 세종 등 아파트 가격이 비싼 주요 지역들이 더 빠르게 상승하며 반등을 주도하고 있고, 이로 인해 아파트 간의 상대적 격차가 커지고 있는 국면이다.


이는 올해 초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함께 특례보금자리론,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및 상반기동안 이어진 COFIX 금리(신규취급액 기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인해 2022년 침체기 동안 누적된 아파트 대기수요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아파트로 더 많이 몰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과거 전국 아파트 간 격차의 흐름을 보면 2020년까지 아파트 가격의 상승과 함께 아파트 간 가격 격차도 꾸준히 확대됐으나 2021년에는 상대적으로 저가에 속하는 아파트의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상대적 격차가 줄어들었다.


2022년 침체기에는 수도권 등 주요 지역에 소재한 고가 아파트 가격의 빠른 하락으로 인해 다시금 지방에 소재한 중저가 아파트와의 격차가 줄었다. 그럼에도 2010년대 중반의 과거에 비하면 현재 아파트 간 상대적인 가격 격차는 여전히 큰 편이며, 다시금 격차가 커지는 상황이다.


직방 관계자는 “아파트 가격 격차가 확대될수록 자산 축적을 통한 주택 상향이동 및 갈아타기가 더욱 어려워진다”며 “아파트 가격의 상승·하락뿐만 아니라 가격 격차의 동향 또한 공공에서 예의주시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73.77 1.64(-0.06)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19 13:25

82,837,000

▲ 1,368,000 (1.68%)

빗썸

09.19 13:25

82,854,000

▲ 1,399,000 (1.72%)

코빗

09.19 13:25

82,889,000

▲ 1,403,000 (1.7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