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08
23.3℃
코스피 2,544.28 31.22(-1.21%)
코스닥 706.59 18.69(-2.58%)
USD$ 1,335.3 -0.6
EUR€ 1,479.6 -5.4
JPY¥ 921.8 7.4
CNH¥ 187.6 -0.0
BTC 73,733,000 574,000(0.78%)
ETH 3,097,000 72,000(2.38%)
XRP 714.9 7.7(1.09%)
BCH 408,950 9,200(2.3%)
EOS 630.4 15.5(2.5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탄소 80%’ 감축…정부 지원에 항공사 ‘시선은’

  • 송고 2023.11.29 12:30 | 수정 2023.11.29 12:31
  • EBN 박성호 기자 (psh@ebn.co.kr)

비행기 탄소 배출량 이동 수단 중 최고…탄소 감축 요구 폭발
‘바이오 항공유’ 최대 80% 탄소 ↓…경제성 낮아 국내 생산 無
바이오 항공유 급유 위한 시설 등도 부족…“정부 지원 절실”

[제공=대한항공]

[제공=대한항공]

정부가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 감축할 수 있는 ‘저탄소 항공연료’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확대하기로 했다. 항공 업계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다만 오는 2025년 실시될 저탄소 항공유 혼합 의무를 준수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29일 항공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신산업 규제 혁신 방안’을 발표, 저탄소 항공연료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저탄소 항공연료 관련 기술을 조세특례제한법상 신성장·원천기술로 지정을 검토한다. 세제 혜택을 늘려 저탄소 항공연료 투자를 촉진하기 위함이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친환경 항공연료 전환 요구가 거세다. 이산화탄소 배출 가운데 약 2.5%가 상업 항공기 운용에서 발생한다. 자동차·기차 등 다른 운송 수단과 비교해도 탄소 배출량이 많다. 승객 한 명이 1km 이동할 때 탄소발자국은 중형차(디젤) 171g, 비행기 255g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오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의 65%를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SAF)를 활용해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EU에서 이륙하는 모든 비행기에 SAF 사용을 의무화한다. 유럽 노선을 운영하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국적 항공사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국내기업은 저탄소 항공연료 생산을 위한 초기 투자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문제는 경제성과 규제다. 현재 SAF로 일컫는 바이오 항공유는 폐식용유, 옥수수기름 등을 재활용해 만든다. 비용은 기존 항공유에 비해 약 3~5배가량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유 가격은 항공사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정유 업계 또한 경제성이 떨어져 초기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


국내에 SAF 전문 생산 기업은 없다. 정부의 지원이 현실화되면 SAF 관련 사업 생산 설비 확충은 탄력받게 될 전망이다. 항공사도 해외 정유사를 통해 SAF를 조달받는 것보다 국내에서 급유하는 게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항공 업계가 환영의 뜻을 밝힌 이유다.


항공 업계는 정부의 기소에 부흥하기 위해서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한다. SAF 활용 현실화를 위한 과정은 험난하다. 우선 SAF 사용이 안전한지 실증 작업을 거쳐야 한다. 시범 운항을 하기 위해서는 국내 공항에 SAF 연료 탱크와 급유 시설 등 인프라가 확충돼야 한다.


SAF 활용을 실현하려면 연료를 보관하고 수송해 줄 공항의 역할도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항공유를 생산해도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 확충도 꼽고 있다.


현재 대한항공이 GS칼텍스와 바이오항공유 실증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6번의 시범 운항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안전성 문제는 없는지, 에너지 소비효율 효과는 있는지와 함께 인프라 관련 개선점을 파악한다.


대한항공 측에 따르면 해당 실증 사업은 11월까지 진행된다. 국적 항공사의 첫 실증 운항이므로 SAF 급유를 위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등이 도출될 예정이다.


항공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미국·유럽에 비해 SA 생산 시설도 부족한 데다가, 바이오항공유 도입 시 높은 구매비로 인해 소비자에게 항공권 가격 인상 부담을 줄 수 있다”면서 “항공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부 측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44.28 31.22(-1.2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08 10:47

73,733,000

▲ 574,000 (0.78%)

빗썸

09.08 10:47

73,718,000

▲ 521,000 (0.71%)

코빗

09.08 10:47

73,734,000

▲ 513,000 (0.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