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21
23.3℃
코스피 2,593.37 12.57(0.49%)
코스닥 748.33 8.82(1.19%)
USD$ 1,331.8 0.8
EUR€ 1,486.2 6.6
JPY¥ 932.9 -1.5
CNH¥ 188.1 0.9
BTC 84,158,000 466,000(-0.55%)
ETH 3,400,000 119,000(3.63%)
XRP 775.7 11.8(-1.5%)
BCH 446,350 11,200(-2.45%)
EOS 684.2 0.7(0.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韓, 배터리·반도체·희토류·바이오 공급망 中 의존도 치명적"

  • 송고 2022.01.12 06:00 | 수정 2022.01.12 06:00
  • EBN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2020년 美 공급망 재구축 4대 품목 對中 수입의존도 3국 중 한국이 모두 1위

반도체 韓 39.5% > 日 18.3% > 美 6.3%...배터리 韓 93.3% > 日 66% > 美 43.4%

2021년 5월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방문해 배터리 소재 생산라인을 둘러보는 모습ⓒ

2021년 5월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방문해 배터리 소재 생산라인을 둘러보는 모습ⓒ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공급망 재구축 4대 핵심 품목인 배터리·반도체·희토류·바이오 분야 한국의 對중국 의존도가 위험 수준으로 진단됐다.


12일 전경련이 한·미·일 주요 품목의 對중국 수입의존도를 비교한 결과, 부품소재를 포함해 중간재 수입의존도는 한국이 3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발생 이후 한국의 대중 수입의존도가 가장 높게 상승했다.


2020년 미국의 공급망 재구축 4대 품목의 경우 한국의 대중 수입의존도가 4개 품목 모두 3국 중 가장 높았다.


2020년 기준 전체 품목의 전 세계 對중국 수입의존도가 14.3%인 가운데 일본 26%, 한국 23.3%, 미국 18.6% 순으로 집계됐다. 부품소재는 한국 29.3%, 일본 28.9%, 미국 12.9% 순이다. 중간재는 2019년 기준 세계 평균이 10.4%인 가운데 한국 27.3%, 일본 19.8%, 미국 8.1% 순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전경련

전경련 지역협력팀 이재수 팀장은 "한국과 일본의 중간재 및 부품소재에 대한 對중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것은 한-중-일 3개국이 중간재 교역을 매개로 경제블록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라며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자국 내 제조역량 강화, 공급망내 對중국 의존도 완화를 위해 한국 등 동맹국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공급망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용량 배터리를 비롯한 반도체·희토류·의약원료품 등 4대 품목에 대한 2020년 기준 對중국 수입의존도는 한국이 모두 1위다.


반도체에 대한 對중국 수입의존도는 한국이 39.5%로 일본과 미국에 비해 2.2~6.3배 높게 나타났다. 반도체 강국인 한국이 역설적으로 반도체 對중국 수입의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중국 현지공장 반도체 물량 상당수를 전공정(웨이퍼 가공) 단계까지 생산한 뒤 한국으로 수입해 후공정(웨이퍼 절단·포장)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 한국의 반도체 對중국 수입액은 179.3억 달러 규모다.


ⓒ전경련

ⓒ전경련

환경규제에 따른 전기차 보급 확대,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른 전기저장장치(ESS) 수요 증가로 급성장세인 배터리(리튬이온축전지)에 대한 한국의 對중국 수입의존도는 2020년 93.3%로 일본과 미국에 비해 1.4~2.2배 높다.


배터리 강국인 한국의 對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국내 전기차 판매 증가로 국내 물량만으로 수요를 맞추지 못해 국내 업체가 중국 공장 생산분을 수입한 결과로 보인다. 2020년 한국의 배터리 對중국 수입액은 15.2억 달러로 추산된다.


의약품 및 의약원료품(항생물질)에 대한 한국의 중국 수입의존도는 52.7%로 미국·일본에 비해1.5~1.7배 수준이다. 희토류의 對중국 수입의존도 52.4%로 일본·미국 보다 1.2~1.3배 높은 수준이다.


ⓒ전경련

ⓒ전경련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작년 11월 삼성의 20조원 규모 미국 내 반도체 파운드리 건설 프로젝트 확정 사례에서 보이듯 바이든 행정부의 對중국 전략우위 탈환을 위한 핵심품목 공급망 재구축은 본격 실행단계"라며 "올해 예정된 미국의 중간선거와 중국의 공산당대회를 앞두고 미-중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우리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민관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김 실장은 "글로벌 공급망 이슈는 산업통상을 넘어 경제안보와 결합해 다뤄지는 상황"이라며 "한국도 주요품목에 대해 중국 등 특정국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책 및 제도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전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3.37 12.57(0.49)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21 02:22

84,158,000

▼ 466,000 (0.55%)

빗썸

09.21 02:22

84,095,000

▼ 497,000 (0.59%)

코빗

09.21 02:22

84,240,000

▼ 415,000 (0.49%)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