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5 | 31
22.8℃
코스피 2,647.88 12.44(0.47%)
코스닥 834.45 2.46(0.3%)
USD$ 1384.4 7.4
EUR€ 1497.4 6.1
JPY¥ 883.2 5.3
CNY¥ 190.8 1.0
BTC 95,281,000 1,071,000(1.14%)
ETH 5,226,000 19,000(-0.36%)
XRP 725.4 5.2(-0.71%)
BCH 646,400 1,800(-0.28%)
EOS 1,140 8(0.7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셀트리온, 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 ‘CT-P53’ 임상 3상 IND 美 승인

  • 송고 2023.06.16 09:26 | 수정 2023.06.16 09:28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9조원대 글로벌 시장 공략 시동

FDA IND 승인으로 임상 본격화

"'퍼스트 무버'로 경쟁력 확보"

ⓒ셀트리온

ⓒ셀트리온

셀트리온은 현지 시간 1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Ocrevus, 성분명: 오크렐리주맙)' 바이오시밀러인 'CT-P53'의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이하 IND)을 승인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IND 승인은 지난 5월 FDA에 CT-P53의 글로벌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을 신청한 지 약 1개월 만에 획득한 것이다. 총 512명의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환자들을 대상으로 CT-P53과 오크레부스 간의 유효성과 약동학 및 안전성 등의 비교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CT-P53의 오리지널 의약품 오크레부스는 로슈(Roche)가 개발한 블록버스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다.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경화증(PPMS)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오크레부스는 2022년 기준 약 9조원[1]의 글로벌 매출을 기록하며 글로벌 다발성 경화증 시장 내 매출 1위를 지키고 있으며, 미국 시장 규모는 약 6조 6600억원으로 전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신규 파이프라인인 CT-P53이 미국에서 임상 승인을 받으며 본격적인 임상 절차에 돌입하고, 6조원이 넘는 오크렐리주맙 미국시장 공략 준비에 나섰다”며 “앞으로 진행될 임상 3상에 박차를 가해 CT-P53이 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 퍼스트무버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연내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39,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2,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1,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CT-P47 등 최대 5개 품목의 바이오시밀러 허가 신청을 완료할 방침으로, 2025년까지 바이오시밀러 제품 포트폴리오를 11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47.88 12.44(0.47)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5.31 11:54

95,281,000

▲ 1,071,000 (1.14%)

빗썸

05.31 11:54

95,192,000

▲ 1,037,000 (1.1%)

코빗

05.31 11:54

95,351,000

▲ 1,256,000 (1.3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