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5 | 19
24.3℃
코스피 2,724.62 28.38(-1.03%)
코스닥 855.06 15.31(-1.76%)
USD$ 1355.5 4.5
EUR€ 1473.3 5.2
JPY¥ 870.6 1.2
CNY¥ 187.4 0.3
BTC 93,249,000 386,000(0.42%)
ETH 4,347,000 41,000(0.95%)
XRP 725.5 0.2(-0.03%)
BCH 683,400 14,100(2.11%)
EOS 1,129 9(-0.7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총선끝 ‘4월 위기설’…5대은행 무수익여신 건설·부동산에 집중

  • 송고 2024.04.17 10:53 | 수정 2024.04.17 10:54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무수익여신, 차주로부터 이자조차 받지 못한 소위 ‘깡통대출’

신한은행만 줄어들고 국민·우리·하나·농협은행 모두 늘어나

무수익여신 최대폭 증가한 차주 모두 ‘건설·부동산관련 기업’

이복현 “채산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은 신속한 정리토록 권고”

총선 종료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금융·건설 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4월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총선 종료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금융·건설 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4월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총선 종료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금융·건설 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4월 위기설’이 확산하고 있다. 당국은 부실 사업장을 정리하면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지표상으로는 ‘위기 징후’가 뚜렷히 감지되고 있다. 시중은행이 건설·부동산 관련 기업에 대출해주고 이자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17일 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농협)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은 총 3조5207억원 규모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 말 2조7900억원보다 26.2% 증가한 결과다.


무수익여신은 은행이 차주(대출받은 사람)로부터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대출을 뜻한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원금을 갚지 못한 대출에, 이자를 상환하지 못한 대출을 반영해 무수익여신 잔액 규모를 산정한다. 통상 ‘깡통 대출’로 불리는 이 대출에는 부도업체 등에 대한 여신, 채무 상환 능력 악화 여신, 채권 재조정 여신 등이 포함됐다.


이런 ‘깡통 대출’과 관련된 은행을 살펴보면 신한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의 무수익여신이 급증했다. 신한은행만 6327억원에서 6060억원으로 4.2% 줄었고 나머지는 모두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은 5221억원에서 7498억원으로 43.6%, 하나은행은 6521억원에서 8678억원으로 33.1% 각각 늘었다.


이어 우리은행은 4701억원에서 5289억원으로 12.5%, NH농협은행은 5130억원에서 7682억원으로 49.7% 각각 증가했다.


각 은행이 공시한 ‘거액 무수익여신 증가업체 현황’을 보면, 건설·부동산업 업체들의 부도나 채무 불이행이 전체 무수익여신 증가에 직격탄이 됐다. 특히 5대 은행에서 무수익여신이 최대폭으로 늘어난 차주는 하나같이 건설·부동산업 회사로 분류됐다.


[제공=은행연합회]

[제공=은행연합회]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에서는 부동산업종 한 기업에서 무수익여신이 1년 새 645억원 늘었다. 이유는 이자를 내지 못해서였다.


신한은행에서도 주거용 건물 임대업종 기업에서 무수익여신이 347억원 늘었으며, 이는 부도업체의 채무 불이행 때문으로 공시됐다.


하나은행에서는 기타 토목 시설물 건설업종에서는 무수익여신이 604억원 발생했다. 유동성 악화로 채무 상환을 할 수 없었다는 게 은행 측 설명이다.


우리은행에서는 아파트 건설업체인 D사에 대한 무수익여신이 720억원으로 신규로 발생했다. 기업신용평가에서 D등급을 받고 채권 재조정을 한 결과였다.


농협은행 역시 무수익여신이 420억원으로, 워크아웃으로 채권 재조정이 이뤄진 건설업체가 최고폭으로 늘어났다.


은행보다 더 문제는 저축은행이다. 저축은행의 재무상황이 악화하고 있어서다. 한국기업평가는 최근 저축은행 업권에선 향후 발생하는 PF 부실화 관련 손실이 PF 대손충당금 규모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조사했다.


네 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 PF 손실 예산액을 산출한 결과, 저축은행의 손실예상액 대비 PF 대손충당금 비율이 시나리오4(중위험 자산 부실화)에선 42%로 추산됐다. 대손충당금으로도 손실을 다 메울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시나리오별로 테스트한 결과 25개 증권사가 추가로 1조1000억∼1조9000억원의 손실을 볼 수 있어 추가로 충당금 적립이 필요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나이스(NICE)신용평가는 2금융권인 저축은행, 캐피탈, 증권사의 PF대출 예상손실액이 최대 13조8000억원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업권별로 저축은행 4조8000억원, 캐피탈 5조원, 증권사 4조원 등이다. 경매시장에서 감정평가액 대비 최종 낙찰가율 하위 25%를 기준으로 한 가장 보수적인 예상치다.


이는 지난해 세 업권의 순익 총액 5조7000억원을 뛰어넘는 규모다. 세 업권의 지난해 자본확충 규모 1조7000억원을 더한 7조4000억원에 비교해도 2배에 달한다. 한 해 벌어들인 돈을 모두 투입해도 PF 손실액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없다는 얘기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부동산 PF에 대해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은은 지난달 28일 금융안정 상황 보고를 통해 “PF 연체율이 상승한 점 등에 고려하면 사업장 관련 리스크는 다소 증대된 것으로 추산되지만 사업장별 평가 결과 시공사를 통한 사업장의 부실 확산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판단했다.


금융당국은 총선 종료와 함께 부실한 PF 사업장의 정리를 강조하고 나섰다. 당국은 채산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은 신속한 정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40차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본시장 대(大)전환과 우리 기업·자본시장의 도약을 위한 발걸음’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40차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본시장 대(大)전환과 우리 기업·자본시장의 도약을 위한 발걸음’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40차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꽤 진행된 본PF나 사업성이 있는 사업장은 최대한 끌고 나가서 중장기적으로 부동산 공급을 촉발하되, 채산성이 안 맞는 부동산이나 브릿지론은 주인이 바뀌는 게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어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라든가 대주단 운영 기준 등 각 업권 의견 조회와 유관기관 간 이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기조 속에서 금감원은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8일부터 2주간 시중은행, 제2금융권 등과 면담을 가지고 관련 논의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장래성이 있는 사업장은 활성화하는 한편, 사업성이 없으면 정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권고 중이다. 특히 사업성이 충분한 사업장은 신규자금을 지원하고, 사업성이 없는 사업장은 신속히 정리하기 위해 경·공매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면담 후 PF 정상화와 관련한 사업성 평가 기준 등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건설업계와 금융권에 확산된 ‘4월 위기설’에 대한 불안을 얼마나 진정시킬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이에 이 원장은 ”시장의 불안을 가라앉히기 위해 채권금융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건설사 등과도 충분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24.62 28.38(-1.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5.19 12:03

93,249,000

▲ 386,000 (0.42%)

빗썸

05.19 12:03

93,127,000

▲ 361,000 (0.39%)

코빗

05.19 12:03

93,151,000

▲ 391,000 (0.4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