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8
11.7℃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49.0 -2.0
EUR€ 1456.5 -6.3
JPY¥ 891.0 -1.7
CNY¥ 185.9 -0.4
BTC 100,447,000 748,000(0.75%)
ETH 5,090,000 1,000(0.02%)
XRP 887.7 0.2(0.02%)
BCH 799,400 103,800(14.92%)
EOS 1,519 3(-0.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좀비 건설사’는 어디?…30대 건설사에도 ‘우글’

  • 송고 2016.01.18 06:00 | 수정 2016.01.18 17:46
  • 서영욱 기자 (10sangja@ebn.co.kr)

은행 돈 빌려 3년째 이자도 못 갚는 건설사 9곳이나 돼

평균 부채비율 174%…300% 넘는 곳도 9곳

건설업 특성 고려하지 않은 선별지침에 우려도

정부는 최근 은행에서 막대한 돈을 빌리고도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이른바 ‘좀비기업(한계기업)’ 솎아내기에 한창이다.

정부가 내세운 선별 지침에 따르면 대형 건설사 중 상당수가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건설사 14곳이 선정됐으며, 이중 12곳이 추가 금융지원 없이 즉시 법정관리 신청이 가능한 D등급이다.

EBN은 시공능력평가 상위 30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은 건설사를 선별해 봤다. (조사대상 건설사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GS건설 △대림산업 △롯데건설 △SK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산업개발 △한화건설 △두산건설 △두산중공업 △한라 △금호산업 △코오롱글로벌 △쌍용건설 △태영건설 △삼성엔지니어링 △계룡건설산업 △한양 △KCC건설 △한진중공업 △동부건설 △한신공영 △경남기업 △서희건설 △삼호 △고려개발 △신세계건설)

금융감독원의 한계기업 선별 지침을 보면 부채비율 100% 이상이면서 여신액 500억원 이상인 주채무계열 가운데 △최근 3년중 2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배 미만 △최근 3년중 2년 연속 마이너스(-) 영업현금흐름을 보인 곳이다.

부채비율은 회사가 자기자본으로 부채를 어느 정도 지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안정성지표다. 보통 100% 이하이면 이상저인 것으로 판단하지만, 건설업과 같이 전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높은 업종의 경우 산업 평균과 함께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대한건설협회가 지난해 발표한 ‘2014년도 종합건설사 경영상태’를 보면 종합건설사의 업계 평균 부채비율은 143.1%다.

30대 건설사의 지난해 별도 재무제표 기준 3분기 누적 평균 부채비율은 173.75%로, 업계 평균보다 30.7%p 더 높고 100% 이하 건설사는 한 곳도 없다. 기본적으로 한계기업 선별 대상에 대부분 건설사들이 포함된다는 뜻이다.

업계 평균 이하의 부채비율을 보이는 곳도 6곳 뿐이다. △포스코건설(100.81%) △현대산업개발(101.20%) △삼성물산(105.24%) △태영건설(115.72%) △대림산업(119.80%) △현대엔지니어링(140.76%)이 비교적 타인자본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건설사 중 부채비율 상위 10개사(별도 재무제표기준) ⓒEBN

30대 건설사 중 부채비율 상위 10개사(별도 재무제표기준) ⓒEBN

반대로 부실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채비율 300% 이상 회사는 9곳이나 된다. △고려개발(1740.82%) △한신공영(661.42%) △신세계건설(643.98%) △금호산업(574.21%) △한라(442.03%) △동부건설(360.74%) △코오롱글로벌(341.51%) △계룡건설산업(302.24%) △SK건설(301.56%) 순이다.

자사가 보유한 자본보다 빚이 3배 이상, 고려개발의 경우 17배가 많다는 의미다.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경남기업과 삼성엔지니어링을 포함하면 11곳으로 늘어나, 30대 건설사 중 3분의 1은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온 셈이다.

다음으로 고려되는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면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이익으로 금융비용 조차 지불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30대 건설사들의 △2015년 3분기말 △2014년 말 △2013년 말 별도기준 재무제표를 분석해 본 결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 기업은 9곳이나 된다.

최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 건설사(별도 재무제표기준) ⓒEBN

최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 건설사(별도 재무제표기준) ⓒEBN

부채비율이 높은 건설사 순으로 △한라(0.20, 0.13, -2.93) △동부건설(-8.98, -3.70, -2.60) △코오롱글로벌(0.99, 0.05, 0.23) △한화건설(-3.52, -0.98, 0.64) △한진중공업(-0.07, -0.60, -0.58) △쌍용건설(-10.76, 0.05, -3.99) △KCC건설(-1.41, 0.04, -0.75) △두산건설(0.16, 0.76, 0.36) △경남기업(-6.48, -3.79, -4.44)이다.

모두 해외시장 부진 등 대내외적인 악재로 경영이 악화된 건설사들로 동부건설과 경남기업은 법정관리에 돌입해 구조조정인 회사다.

계룡건설산업(1.46, -5.52, -2.96)과 SK건설(1.29, 0.46, -5.23), GS건설(1.31, 0.13, -10.09)은 ’14, ’13년에 1 미만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실적 개선으로 3분기 말 현재 간신히 1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부채비율도 250% 이상으로 언제든지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지난해 3분기까지 1조원대 영업적자를 기록한 삼성엔지니어링도 빼 놓을 수 없다.

반대로 최근 3년간 이자보상배율 1 이상을 유지하는 회사는 △삼호 △한양 △현대건설 △두산중공업 △현대엔지니어링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등 7곳이다.

영업현금흐름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설사는 없었다.

◆ ‘산업 특수성’ 고려하지 않는 선별지침 우려도...

건설업계에서는 건전한 경제발전을 위한 구조조정 취지에는 공감하나 건설업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채권단 중심의 일방적 기업 구조조정 방식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대부분의 주택사업은 금융권으로부터의 차입을 전재로 시작되며, 대상물의 준공은 최소 2년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수주산업의 특성상 원가율이 좋은 공사를 다수 수주하더라도 현금흐름과 이자보상배율 등에 영향을 미칠 때 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위 조사에 따르면 30개 업체 중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모두 100%를 넘고,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곳은 절반에 가까운 14곳에 이른다. 이를 단순히 부실기업이 많다고 보기 보다는 건설업계의 산업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은 “건설업의 경우 평가 기준을 획일화하고 평가 대상기간을 줄이는 것은 자생이 가능한 기업에게 자칫 그 기회를 빼앗는 결과가 될 수 있다”며 “획일화된 기준보다는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질적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8 17:29

100,447,000

▲ 748,000 (0.75%)

빗썸

03.28 17:29

100,425,000

▲ 856,000 (0.86%)

코빗

03.28 17:29

100,355,000

▲ 625,000 (0.6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