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7.9℃
코스피 2,746.36 0.54(0.02%)
코스닥 907.59 2.46(-0.27%)
USD$ 1348.0 -3.0
EUR€ 1452.5 -5.1
JPY¥ 891.0 -1.5
CNY¥ 185.7 -0.3
BTC 100,370,000 601,000(0.6%)
ETH 5,088,000 59,000(1.17%)
XRP 885.9 10(1.14%)
BCH 820,000 55,900(7.32%)
EOS 1,596 91(6.0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ELS 규제…증권사 반발에도 '연결성' 보는 금융당국

  • 송고 2020.07.02 15:38 | 수정 2020.07.02 15:42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ELS 발행규모, 자기자본 100~200%로 제한하는 총량규제에 증권가 저항 커

증권가 "코로나는 예외적 이벤트…20년 노하우 쌓인 ELS 제한시 발전 저해"

금융당국이 전체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규모 등과 관련한 감독 방안을 마련한다. 증권업계는 ELS 총량 규제에 대헤 강하게 저항하지만 금융당국은 글로벌 시장과 맞물린 ELS는 증권사 주된 리스크 트리거가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EBN

금융당국이 전체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규모 등과 관련한 감독 방안을 마련한다. 증권업계는 ELS 총량 규제에 대헤 강하게 저항하지만 금융당국은 글로벌 시장과 맞물린 ELS는 증권사 주된 리스크 트리거가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EBN

금융당국이 전체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규모 등과 관련한 감독 방안을 마련한다. 증권업계는 ELS 총량 규제에 대헤 강하게 저항하지만 금융당국은 글로벌 시장과 맞물린 ELS는 증권사 주된 리스크 트리거가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당국과 업계 간의 이견은 현재 조율 중으로 알려진다.


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글로벌 증시의 폭락으로 파생상품 리스크가 드러난 이벤트를 계기로 증권사의 과도한 ELS 발행과 판매를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같은 검토 배경은 증권사가 보유한 건전성 위험이 계속 커지고 있어서다. 금융위는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손실 위험이 크고 목표 수익률이 높은 구조의 ELS 상품이 증가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특히 해외지수형 ELS 월별 평균 쿠폰이자율은 작년 말 4.87%에서 지난달 7.57%까지 지속적으로 올랐다는 점도 증권사가 안아야할 부담을 키우고 있다.


금융당국은 ELS 총 발행액을 자기자본의 1~2배 수준으로 상한선을 두는 방안과 함께 외환 건전성 수준을 높이는 쪽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한 증권업계의 저항은 강력하다. 업계는 ELS가 유동성 우려를 야기한 만큼 관련 자체 헤지 부담을 지속적으로 감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ELS 총괄규제와 같은 총체적인 규제가 도출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2000년 초반부터 축적되기 시작한 ELS 노하우가 총량 규제로 인해 위축될 수 있다"면서 "20년간 시행착오를 통해 관련 통계 및 확률 데이타를 쌓은 증권사로선 일괄적인 총량 규제가 산업 발전을 가로 막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이벤트로 촉발된 글로벌 증시 폭락은 특별한 사건"이라면서 "이를 일반된 위험으로 해석해서 전체 총량을 줄이는 기제로 풀이하는 것은 증권산업 발전에 발목을 잡는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내 증권업이 보유한 리스크 전이에 대해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증권사는 자사에 대한 위험성만 판단하면 그만이지만, 금융당국은 전체적인 사업 리스크의 연결성까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증권사는 수익원 창출, 다변화 목적으로 해외 부동산 투자를 확대해 왔다는 점도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투자는 규모가 크고 중도 환매가 어려울 뿐 아니라 부동산 경기 하강 리스크와 직면하기 때문에 증권사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같은 구조 속에서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한 금융당국의 모니터링은 더욱 촘촘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금융당국은 6월 분기 말 회사채, 단기자금 등 시장성 차입 여건과 금융권의 리스크를 면밀히 점검해나가고 있다. 기업계 유동성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이달 1일부터 시행된 RP 매도자의 현금성 자산 보유 규제에 대해 일시적으로 완화했다.


비우량채의 경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시 차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P-CBO, 산은·신보 CP 매입 통해 대응한 한편 저신용등급 회사채·CP 매입을 위한 기구가 설립되기 전에도 산은을 통해 우선 회사채·CP를 매입하도록 했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36 0.54(0.0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13:47

100,370,000

▲ 601,000 (0.6%)

빗썸

03.29 13:47

100,218,000

▲ 643,000 (0.65%)

코빗

03.29 13:47

100,220,000

▲ 491,000 (0.49%)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