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9
15.8℃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81.0 1.0
EUR€ 1470.5 1.5
JPY¥ 893.5 1.0
CNY¥ 190.5 0.1
BTC 94,910,000 2,064,000(2.22%)
ETH 4,532,000 18,000(0.4%)
XRP 731.8 1.2(-0.16%)
BCH 705,200 13,100(-1.82%)
EOS 1,151 56(5.1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부동산 침체기에 광주·대전·전남 굳건…"공급부족·비규제 영향“

  • 송고 2019.03.14 09:31 | 수정 2019.03.14 09:31
  • 김재환 기자 (jeje@ebn.co.kr)

수요比 부족한 신규 분양 당분간 이어질 듯

대출·세금 등 규제 없어 청약자들 문전성시

부동산 시장 침체기가 유독 광주와 대전, 전남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과 서울의 집값이 동시에 17주 연속 하락한 와중에 전국 시·도 중 유독 이 세 곳의 집값 상승세는 굳건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최근 이들 지역에 아파트 공급량이 적었던 데다가 각종 규제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4일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광주의 아파트값은 지난해 4월9일부터 올해 3월4일까지 48주 연속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집값이 떨어지기 시작한 지난해 11월12일부터 올해 3월4일까지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한국감정원

서울 집값이 떨어지기 시작한 지난해 11월12일부터 올해 3월4일까지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한국감정원

해당 기간 누적 상승률은 3.8%로 광주에서도 광산구(6.2%)와 남구(5.9%), 서구(5.1%)의 상승폭이 컸다.

대전의 아파트값을 보면 지난해 9월17일 이후 단 한 주를 제외하고 24주간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24주간의 누적 상승률은 2.8%며 서구(5.5%)와 유성구(3.9%)의 상승률이 대전 평균보다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전남의 아파트값은 지난해 7월16일 이후 33주 오르고 단 1주만 소폭 내려 누적 상승률 1.7%를 기록했다. 세부 지역별로는 순천(3.4%)과 광양(3.1%), 나주(2.1%) 순으로 값이 많이 올랐다.

종합해보면 사실상 부동산 침체기에 대전과 광주, 전남의 아파트값 상승률 모두 지난해 한 해 동안의 물가 상승률(1.5%)을 웃돈 셈이다.

특히 전국 시·도 중 이 세 곳만이 전국과 서울의 아파트값 모두 최근 17주 연속 떨어져 각각 누적 하락률이 1.1%와 1.4%에 달하는 상황에서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수요·공급과 정부 규제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3년여 전부터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줄어들어 현재 수요를 감당할 공급물량이 부족할 뿐더러 비규제지역 이점 탓에 가수요(투자·투기)까지 일부 더해졌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광주의 인허가 물량은 지난 2016년 2만1474건에서 2017년 1만8654건, 지난해 1만3049건까지 줄곧 줄었다.

같은 기간 전남은 1만3242건에서 9455건으로 줄었고 대전은 1만1287건에서 4824건까지 쪼그라든 상황이다.

이에 맞춰 지난해 한 해 동안 광주와 대전의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각각 33대 1과 78.6대 1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30.3대 1을 훌쩍 넘긴 수준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대전 광주 등은 규제지역(조정대상·투기·투기과열지구)이 아니기 때문에 대출과 세금 관련 규제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특히 광주 광산구와 같은 특정지역에 교체 수요 등이 몰리면서 기존 주택 가격이 오르고 이게 결국 신규 분양시장 경쟁률을 올리는 원동력이 된다"고 말했다.

또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요즘 (주택) 공급자 대상으로 조사하면 대전·광주 등이 답이라는 얘기들이 나온다"며 "미래를 예측하긴 어렵지만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는 대출 규제 등이 있을 경우 (해당 지역들의) 현재 상승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9 20:32

94,910,000

▲ 2,064,000 (2.22%)

빗썸

04.19 20:32

94,763,000

▲ 2,028,000 (2.19%)

코빗

04.19 20:32

94,686,000

▲ 2,051,000 (2.2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