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5.8℃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3,388,000 4,175,000(4.68%)
ETH 4,477,000 177,000(4.12%)
XRP 740.1 38.9(5.55%)
BCH 700,300 32,600(4.88%)
EOS 1,156 94(8.8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금융지주, 인터넷은행 밑밥 깔았지만…'계륵'

  • 송고 2019.02.12 15:06 | 수정 2019.02.12 16:01
  • 이윤형 기자 (ybro@ebn.co.kr)

참여자 확대에 흥행 가능성, 신한-토스 좋다지만…인터넷은행 전망이 쟂빛

기존 케뱅·카뱅 2년째 1000억대 적자…"추가 완화 통한 신사업모델 필요"

네이버 등 주요 정보통신기술(ICT)의 제3인터넷은행 불참으로 드러난 인터넷전문은행의 낮은 전망에도 신한금융지주가 출사표를 내던지면서 일단 3개 주요 금융그룹(우리·KB·신한) 경쟁구도가 갖춰졌다.ⓒ연합

네이버 등 주요 정보통신기술(ICT)의 제3인터넷은행 불참으로 드러난 인터넷전문은행의 낮은 전망에도 신한금융지주가 출사표를 내던지면서 일단 3개 주요 금융그룹(우리·KB·신한) 경쟁구도가 갖춰졌다.ⓒ연합

네이버 등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제3인터넷전문은행에 불참했다. 인터넷은행의 산업 전망을 낮춘 사안이다. 하지만 신한금융지주가 출사표를 내던지면서 일단 3개 주요 금융그룹(우리·KB·신한) 경쟁구도가 갖춰졌다.

앞선 인터넷은행(케이·카카오)의 빈약한 혁신성과 과도한 금융규제에 따라 사업성은 여전히 낮게 평가된다. 다만 은행권이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새 먹거리를 찾는 데 주력하는 상황이라 발은 담궈 놓겠단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종의 계륵인 셈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핀테크업체 토스와 컨소시엄을 꾸려 '제3인터넷은행'에 진출한다. 양사는 예비 인가를 위한 추진단을 20여명 규모로 만들어 컨소시엄 구성과 참여사 지분율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신한·토스 컨소시엄에 대한 당장의 전망은 나쁘지 않다. 신한금융이 손잡은 비바리퍼블리카는 모바일 간편송금 서비스 '토스'로 국내 핀테크 업체 최초의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가 1조원 이상인 스타트업)에 이름을 올린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많은 사용자와 높은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토스는 서비스 시작 4년만에 앱 누적다운로드 수 2200만건, 누적 송금액 33조원을 돌파했다. 월 평균 사용자수는 460만명 수준이다. 이 같은 이용률은 카카오뱅크 흥행을 이끈 '카카오톡 연계' 효과를 낼 것으로도 전망되면서 제2의 카카오뱅크가 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하나금융그룹도 SKT와 협업해 진출할 것으로 높게 점쳐지면서 인터넷은행 산업이 4대 금융지주 경쟁구도로 굳혀질 공산도 큰 상황이다.

추가 참여자가 늘어나면서 제3인터넷은행 흥행 불씨가 켜질 가능성도 나오지만, 산업 자체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탁하다.

이 같은 전망의 중심에는 은산분리 규제가 있다. 현재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보유가 특례법에 따라 34%로 완화됐지만, 이는 ICT 기업이 적극적인 사업에 나서기엔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실제, 네이버의 경우 일본에서 미즈호 파이낸셜과 각각 51%와 49%의 지분을 가지고 자본금 20억엔(약 204억원)의 합작 회사를 만들 예정이다. 이 같은 지분구조는 복잡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것에 비해 양사의 이견만 조율하기 때문에 국내 인터넷은행의 컨소시엄보다 자유롭게 사업을 펼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산업자본 한도 영향 탓에 현재 인터넷은행들은 기존 은행처럼 예대마진에 기댄 수동적 영업행태를 보이고, 지분에 참여하고 있는 은행들도 단순 주주입장에서 자금지원 역할만 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존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출범으로 은행권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된 것은 분면하지만, 새로운 사업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기존 은행의 디지털뱅킹과 경쟁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결국 낮은 수익성으로도 연결된다. 실제, 인터넷은행 선발 주자인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여전히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각사 공시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누적 순익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각각 1204억원, 1676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터넷은행 산업 확대에는 새로운 사업모델을 통한 혁신이 필요한데, 현재 은산분리 구조로는 어려울 것"이라며 "금융당국은 올해 3월 예비인가 신청을 받고 5월 인터넷전문은행 인가를 내주겠다는 방침이지만 추가적인 완화 없이는 기존 은행권 경쟁시장에 플레이어만 추가시키는데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11:26

93,388,000

▲ 4,175,000 (4.68%)

빗썸

04.20 11:26

93,272,000

▲ 3,978,000 (4.45%)

코빗

04.20 11:26

93,302,000

▲ 3,980,000 (4.4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