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11.8℃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8.0 -3.0
EUR€ 1452.7 -4.8
JPY¥ 890.6 -1.8
CNY¥ 185.8 -0.3
BTC 99,601,000 874,000(-0.87%)
ETH 5,041,000 56,000(-1.1%)
XRP 882 4(-0.45%)
BCH 840,200 39,600(4.95%)
EOS 1,552 38(2.5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지방 아파트 미분양 적체…"내년이 더 불안"

  • 송고 2018.11.08 14:32 | 수정 2018.11.08 14:42
  • 서호원 기자 (cydas2@ebn.co.kr)

수도권-지방간 청약 양극화 심화

금리인상 가능성·대출 규제로 지방 미분양 적체 우려↑

수도권의 한 공사 현장. 사진은 기사화 무관함.ⓒEBN

수도권의 한 공사 현장. 사진은 기사화 무관함.ⓒEBN

수도권과 지방간 청약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몇개월 동안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다 보니 수도권 지역의 미분양 물량도 감소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뚜렷한 지방의 미분양은 큰 변화가 없고, 이렇다 보니 서울과 지방 사이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여전한 상황이다.

가뜩이나 9.13부동산대책 이후 아파트 거래가 급감하면서 내년에는 지방을 중심으로 신규 분양 시장의 침체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8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큰 폭의 미분양 감소세를 기록한 반면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미분양 주택현황(올 9월말 기준) 자료를 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596호로, 전년동기 대비 7466호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이 전년동기 대비 21.25%가 줄어든 7655호, 지방은 21.95%가 증가한 9531호이다.

구체적으로 경남이 1만4847호로 가장 많았고 △충남 9489호 △경북 8760호 △강원 5112호 △충북 4426호 등의 순이다.

업계에선 하반기 지방에서 대기 중인 신규 물량이 적지 않아 미분양 적체가 갈수록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하반기 지방 분양 예정 물량은 14만6415가구로 상반기(7만9216가구)보다 2배가량 많다.

이미 공급 포화상태에서 하반기 분양 물량이 쏟아지고, 기존 미분양까지 떠안아야 하면서 부동산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극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수도권에 비해 규제 강도가 약한 지방이라도 금리인상과 대출 규제로 수요자들이 쉽사리 분양에 나서기는 쉽기 않아서다.

건설사들도 대규모 분양물량을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공급과잉과 미분양 리스크가 여전한 가운데 각종 규제책까지 적용됐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전국적으로 쏟아지는 가운데 민간 건설사들도 신규 아파트 물량을 대거 공급한다"며 "입주물량이 분명 시장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대출 규제도 대폭 강화되면서 미분양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요자의 '옥석가리기' 본격화로 대형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이거나 지방 중에서도 생활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이 아니라면 1순위 청약 마감을 기대하긴 힘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한 규제가 되레 지방 부동산 시장만 죽였다고 지적한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한 정부의 규제가 오히려 양극화만 초래하고 있다"며 "지역 산업 활성화를 위한 획기적인 규제 완화나 수요자를 위한 금융 지원 등 단기간에 효과를 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19:11

99,601,000

▼ 874,000 (0.87%)

빗썸

03.29 19:11

99,492,000

▼ 819,000 (0.82%)

코빗

03.29 19:11

99,629,000

▼ 774,000 (0.7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