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19
8.8℃
코스피 2,656.17 29.67(-1.1%)
코스닥 891.91 2.57(-0.29%)
USD$ 1339.5 3.0
EUR€ 1452.0 -1.2
JPY¥ 889.1 -7.3
CNY¥ 185.7 0.3
BTC 94,098,000 5,239,000(-5.27%)
ETH 4,812,000 428,000(-8.17%)
XRP 872 22.6(-2.53%)
BCH 543,600 43,900(-7.47%)
EOS 1,344 132(-8.9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수소에너지 주목…"산학연 연구·정부 지원 필요"

  • 송고 2018.09.20 07:42 | 수정 2018.09.20 08:27
  • 최수진 기자 (csj890@ebn.co.kr)

일본·중국·독일 등 수소전기차에 적극 투자…한국 관련 기술력 부족

"기존 소재 대비 고압·저원가·고내구성 소재에 대한 시장 수요 확대"

효성의 700bar급 수소충전시스템이 구축된 양재동 현대차 수소충전소. [사진=효성]

효성의 700bar급 수소충전시스템이 구축된 양재동 현대차 수소충전소. [사진=효성]

전세계가 자원 고갈과 기후 변화 문제로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를 찾고 있는 가운데 수소에너지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부상하면서 다양한 인프라 투자 움직임이 이뤄지고 있다.

20일 에너지업계 및 포스코경영연구원의 '미래 에너지 수소경제 시대는 오는가?' 리포트에 따르면 수소경제 실현 가능성과 도래시기에 대해 수소 생산단가 및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지만 세계에너지기구(IEA)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수소를 지목하면서 수소경제 실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IEA는 2015년 수소가 천연가스, 화학플랜트, 철강회사 등에서 발생한 부생가스, 물의 전기분해와 같이 다양하게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전환 및 분산이 가능하다는 데 주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가장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2011년 동일본 지진 이후 자국 에너지 자급률이 10% 미만으로 추락했다. 원전 신규 건설이 어려운 상태에서 높은 에너지 해외 의존도를 타파하고 지구온난화 해결, 자국 산업 활성화를 위해 수소에너지를 집중 개발하고 있다.

일본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2020년까지 우선적으로 수요 확대를 위해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이를 지탱하기 위한 공급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약 4만대, 2025년까지 약 20만대, 2030년까지 약 80만대 보급을 목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운송 수단 및 가정용 연료전지 기술개발 등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수소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공급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수소충전소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수소 제조 및 운송, 저장 도입에도 힘쓰고 있다.

중국도 2030년 수소차 100만시대를 목표로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보조금은 점차 축소하면서 수소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또한 충전소 보급 확대를 위해 구축 비용의 60%를 지원하고 전담 관리 부서까지 운영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 역점을 두고 있다.

유럽은 독일 중심으로 수소경제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독일은 2002년 수소에너지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시작해 2006년 NIP(내셔널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촉진했다. 내년까지 NIP 2단계에 2억1000만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한국도 수소전기차 생태계 조기 구축을 위해 2022년까지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수소버스 제작, 버스용 수소저장용기 개발 등에 총 2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선진국 대비 수소경제 기반이 미약해 정부와 산업계가 전략적 협업을 통해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수소에너지 등 수소차 생태계를 조기 구축할 계획이다.

이종민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수소경제 실현 여부는 현재 가장 적극적인 정책을 구사하고 있는 일본의 성장 궤적을 토대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경우 수소저장, 운송 및 충전에 대한 국내 기술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해 이 부분에 대한 R&D 및 투자가 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각국 정부가 수소전기차 보급 정책을 구사하고 있는데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 다시 수소전기차로 이어지는 차세대 자동차 경쟁을 주시해야 한다"며 "아울러 기존 소재 대비 고압, 저원가, 고내구성 소재에 대한 시장 수요도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산학연 협력 및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돼야 하고 국내 수소경제 관련산업이 자생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일정기간 규제 개선을 비롯한 규격, 인증제도 등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56.17 29.67(-1.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19 19:59

94,098,000

▼ 5,239,000 (5.27%)

빗썸

03.19 19:59

93,384,000

▼ 5,432,000 (5.5%)

코빗

03.19 19:59

93,768,000

▼ 5,153,000 (5.2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