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8
15.8℃
코스피 2,634.70 50.52(1.95%)
코스닥 855.65 22.62(2.72%)
USD$ 1376.5 -6.5
EUR€ 1467.5 -8.4
JPY¥ 891.1 -4.8
CNY¥ 189.8 -1.1
BTC 92,209,000 859,000(-0.92%)
ETH 4,477,000 56,000(-1.24%)
XRP 729.1 1.3(-0.18%)
BCH 706,500 16,100(2.33%)
EOS 1,084 9(-0.8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보험업계, 일본 보험사 벤치마킹 '한창'

  • 송고 2018.07.17 10:59 | 수정 2018.07.17 11:01
  • 강승혁 기자 (kang0623@ebn.co.kr)

삼성화재·ING생명 등 일본 의료종신·간병보험 참고한 상품 출시

류성경 교수 "초고령사회 가속…고객 니즈 대응 못하면 위기 봉착"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고령층 비중 7%)에서 1994년 고령사회(14%)로 접어들기까지 24년 소요됐다. 2006년 초고령사회(20%) 도달까지는 12년 걸렸다.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18년만인 올해 고령사회에 도달하고, 8년 만인 오는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픽사베이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고령층 비중 7%)에서 1994년 고령사회(14%)로 접어들기까지 24년 소요됐다. 2006년 초고령사회(20%) 도달까지는 12년 걸렸다.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18년만인 올해 고령사회에 도달하고, 8년 만인 오는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픽사베이

"국내 보험 시장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 노동 인구 감소, 자동차 보유 대수와 주택 착공 건수의 증가세 둔화 등 시장 전체가 성숙화되고 있어 향후 수입 보험료가 크게 성장하는 것은 어려울지도 모른다."

한국 보험사가 한 얘기가 아니다. 일본 대형 손보사 아이오이닛세이동화손보와 미츠이스미토모해상의 지주회사인 MS&AD 보험그룹이 '보험업계의 향후'를 전망한 내용이다. 그러나 시장 양상이 한국이 마주할 미래와 비슷하다. 이에 비춰 일본 보험시장을 먼저 파악하면 우리나라의 미래 보험시장은 보다 수월한 '연착륙'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17일 일본 생명보험문화센터에 따르면 일본의 인구 감소는 2011년에 시작, 장기적으로 인구 감소가 예상된다. 전 인구 중 15세 미만 비율은 2010년 13.1%에서 2040년 10.0%로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비율은 같은 기간 23.0%에서 36.1%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고령층 비중 7%)에서 1994년 고령사회(14%)로 접어들기까지 24년 소요됐다. 2006년 초고령사회(20%) 도달까지는 12년 걸렸다.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18년만인 올해 고령사회에 도달하고, 8년 만인 오는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보험사들의 '일본 탐구'는 이에 따른다. 우리와 유사한 보건의료체계를 비롯, 일본에서 축적된 상품의 실패와 성공 사례를 국내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일본 보험사의 '고령화사회 선행 데이터'는 더욱 효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ING생명은 사망보험금 없이 의료비만 종신 보장하는 일본의 의료종신보험(건강보험)을 벤치마킹, 입원과 수술을 단독으로 보장하는 '오렌지메디컬보험'을 내놨다. 납입기간 동안 보험료 갱신 없이 100세까지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박익진 ING생명 마케팅본부 부사장은 "이미 초고령 사회가 진행중인 일본에서 필수보험으로 자리잡은 의료종신보험을 국내 상황에 맞게 도입했다"며 "노후 의료비를 고민하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비용으로 입원과 수술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가 지난달 출시한 간병보험 '새시대 간병파트너'는 일본 최대 손보사인 동경해상과 교환 근무 등 적극적인 정보 교환을 통해 만들어진 상품이다. 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 보험사의 노하우를 접합했다.

이 상품은 보험 가입자가 치매 등 노인성 질환으로 장기 요양이 필요한 상태가 됐을 때, 1회성 보장에 그치는 기존 보험들과 달리 장기요양상태 전후를 보장해 지원금을 추가 지급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보험사뿐 아니라 민간 보험연구기관도 '열공' 중이다. 성대규 보험개발원 원장은 지난해 11월 일본 출장을 다녀왔다. 저출산·고령화·저성장 시대에 맞는 보험상품을 개발하기 위해선 일본을 연구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보험개발원은 지난해 일본 현지답사 등을 통해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보험 트렌드 2017'을 발간하기도 했고, 올 3월엔 일본 자동차보험기술연구소(JKC)와 간담회를 마련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인구 고령화, 버블 경제 붕괴, 재정 건전성 악화, 금융규제 개혁, 공적연금제도 변화, 공적건강보험제도 변화 등 1980년대 말부터 일본 보험산업이 주요 환경 변화를 겪으며 나타난 보험수요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윤성훈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일본은 1990년대 중반 고령사회 진입~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를 전후해 전반적으로 보험수요가 위축되는 가운데, 성별 및 연령별로 보험수요가 다양화됐다.

기존 사망보장 중심에서 △여성은 의료보험, 연금 등 본인 보장 수요 △청년층 및 독신은 의료보험 등 본인 보장 수요 △중장년층(핵심소비자)은 사망보험 등 가족 보장 수요 △노인층은 연금, 요양 등 노후보장으로 수요가 세분화됐다.

공적보장 축소로 개인연금과 의료보험을 포함한 제3분야(일본에서 의료보험, 암보험, 양로보험 등을 의미)에 대한 수요가 확대됐고, 노인인구 증가와 이들의 자산여력으로 노인층 시장이 커졌다.

일본생명 경영전략 변화ⓒ보험연구원

일본생명 경영전략 변화ⓒ보험연구원

이에 맞춰 일본 보험산업은 성별 및 연령별 보험수요에 적합한 보험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소비자의 위험에 따라 보험료를 세분화하며 소비자 선호에 맞게 채널전략을 다양화했다. 이에 필요한 자산운용, 위험관리, 비용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시행했다.

2000년대 들어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비대면채널 선호도가 상승, 수요가 다양화되자 생·손보 결합상품이 등장했고, 의료보험이 활성화됐다. 리스크가 세분화돼 보험료에 반영되고, 특약이 축소된 단순한 상품이 공급됐다. 또한 외화표시보험 및 변액연금이 활성화됐다.

소비자 선호에 맞게 설계사, 대리점, 내점형 점포, 콜센터, IT 등을 활용한 채널전략이 시행됐다. 시장이 축소됨에 따라 보험계약자 유지가 중요해졌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개혁 프로젝트를 회사별로 시행했다. 이런 노력으로 13개월차 유지율이 93%(우리나라 80%대 초반)를 상회하고 해지율도 낮아졌다.

일본 보험사들은 시장축소 및 금융규제 완화 등에 대응해 자본을 확충하는 한편 M&A 및 해외진출을 활성화했다. 시기별로 보면 1990년대 경영환경 악화에 대응해 재무건전성을 강화했고, 2000년대는 수익성을 제고, 2010년대에는 강화된 재무건전성과 수익성을 바탕으로 외형성장을 추구했다.

류성경 동서대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초고령사회화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생산가능인구는 더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며 "여기에 장기적 저성장, 저금리가 겹치는 가운데 소비자 니즈는 급속도로 다양화되고 있다. 우리 보험업계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있지만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대응하지 못하면 한국은 일본이 경험하지 못했던 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4.70 50.52(1.9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8 22:32

92,209,000

▼ 859,000 (0.92%)

빗썸

04.18 22:32

91,972,000

▼ 906,000 (0.98%)

코빗

04.18 22:32

91,962,000

▼ 938,000 (1.0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