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12.1℃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8.0 -3.0
EUR€ 1452.5 -5.0
JPY¥ 890.3 -2.2
CNY¥ 185.8 -0.3
BTC 100,415,000 166,000(0.17%)
ETH 5,090,000 2,000(-0.04%)
XRP 881.2 2.1(-0.24%)
BCH 827,900 40,000(5.08%)
EOS 1,585 76(5.0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2020년 환경규제, 선사 대응 어디까지

  • 송고 2018.04.06 16:19 | 수정 2018.04.06 16:19
  • 황준익 기자 (plusik@ebn.co.kr)

스크러버·LNG 추진선 비용 높아 선사들 꺼려

브렌트유·LPG 등 규제 적합유 주입 전망

LNG추진선 '그린 아이리스'호.ⓒ포스코

LNG추진선 '그린 아이리스'호.ⓒ포스코

2020년 황산화물(SOx) 규제 강화에 따른 세계 선사들의 대응에 해운업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6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및 해운업계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국제해사기구(IMO)에 의해 전 세계 해역을 대상으로 선박용 연료유 중 황산화물 농도 규제가 현행 3.5% 이하에서 0.5% 이하로 강화된다.

황산화물 규제 준수를 위해서는 선박에 규제 적합유를 주입하거나 스크러버,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을 건조해야 한다.

세계 선사들이 현재 가장 많이 취하는 전략은 스크러버 설치 또는 LNG 추진선 신조 없이 2020년 이후 규제 적합유를 급유하는 것이다.

스크러버 탑재 선박은 지난달 기준 500척이다. 클락슨(Clarksons)에 따르면 황 성분 규제 대상 선박은 6만~7만척으로 스크러버 공급 능력은 최대 연 500기 정도다. 연간 최대치로 스크러버가 생산된다 해도 2020년 1월 스크러버 탑재 선박은 1500척 안팎에 그칠 전망이다.

스크러버 설치비용은 설계비용과 제조비용을 포함해 1기 당 40~50억원으로 비용부담이 크다.

LNG 연료 추진선 건조 역시 신조 비용이 높아 개발을 추진하는 선사는 많지 않다. 기존 선박을 LNG 추진선으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대규모 개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LNG 추진선 개발은 대부분 신조선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LNG 추진선은 LNG 연료유를 공급받기 위해 주요 기항지별 LNG 벙커링 터미널이 필요하지만 충분한 인프라 개발이 이뤄지지 못한 상태다.

안영균 KMI 전문연구원은 "육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방식의 연료공급선을 활용하면 원활한 연료 공급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LNG 연료 공급선의 발주는 미흡한 상황"이라며 "이산화탄소 배출까지 줄이겠다는 선사의 의지가 없다면 LNG 추진선 신조는 급속하게 진전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수의 선사들은 2020년부터 규제 적합유를 급유하는 방법으로 황 성분 규제에 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황 성분 0.5% 이하 브렌트유를 급유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브렌트유는 고유황 중유와 마리나 가스 오일(MGO) 등의 경유를 혼합해 제조하며 배합 비율은 일반적으로 '중유 1:경유 5'다. 적합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유 대비 최소 5배 수준의 경유가 필요하다. 적합유 제조 시 대규모의 경유가 필요함에 따라 적합유 가격은 경유가격과 근접할 가능성이 높다.

LPG(액화석유가스)도 선택사항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LPG는 LNG와 마찬가지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NOx) 뿐만 아니라 CO2 배출 절감까지 가능하며 온실가스 감축도 가능하다.

안 연구원은 "액체 상태로 저장·이동이 가능해 취급이 용이하다는 LPG만의 장점도 있다"며 "LPG 주입이 가능한 엔진의 기술개발이 이뤄질 경우 선박연료로서의 활용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해운업계는 환경규제에 대응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타 선사들의 전략이 파악되고 정부의 지원 정책이 나올 때까지 천천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가능한 한 늦게 대응하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한국선급은 2020년 이후 제한된 기간 동안만 운영되는 선박의 투자회수기간을 고려하면 저유황유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분석한다. 이는 노후한 선박의 폐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선박 선령이 5년 이하로 남은 것은 스크러버 설치보단 저유황유를 쓰거나 폐선이 경제적"이라며 "선박은 5년 마다 정기검사를 받기 때문에 최대 2024년까지는 폐선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5일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선령 20년 이상 노후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교체하는 경우 보조금을 지급(신조선가 10% 수준)해 2022년까지 50척의 선박건조에 대한 재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다른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정부가 보조금 지급을 통해 조기 폐선을 유도하고 스크러버 설치를 지원해야 한다"며 "정유업계도 저유황유 생산을 위한 투자가 이뤄져야 국내 선사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16:05

100,415,000

▲ 166,000 (0.17%)

빗썸

03.29 16:05

100,284,000

▲ 121,000 (0.12%)

코빗

03.29 16:05

100,329,000

▲ 205,000 (0.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