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5.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0.0 -1.0
EUR€ 1458.3 -4.5
JPY¥ 892.2 -0.5
CNY¥ 185.9 -0.3
BTC 100,513,000 1,157,000(1.16%)
ETH 5,068,000 36,000(0.72%)
XRP 896.5 12(1.36%)
BCH 812,000 35,100(4.52%)
EOS 1,526 5(0.3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시중은행 vs 지방은행, 예대율 조정 '엇갈리는 희비'

  • 송고 2018.01.24 14:00 | 수정 2018.01.24 14:24
  • 김지성 기자 (lazyhand@ebn.co.kr)

금융당국, 예대율 가중치 조정 하반기 시행…지방銀 대출여력 커져

시중銀 가계대출 비중 50% 넘어·예대율 99% 전후 예수금 높여야

BNK금융지주 산하 부산은행 중구 지점 전경ⓒEBN

BNK금융지주 산하 부산은행 중구 지점 전경ⓒEBN


금융당국이 하반기부터 은행의 예대율 가중치를 차등화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가계대출에 쏠린 금융흐름을 기업대출로 끌어오기 위한 정책이다. 가계부채의 중장기적 관리를 위한 이 같은 방안으로 국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가계대출의 비중이 기업대출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시중은행들은 예대율 상승 요인이 생기면서 예수금 조달을 늘려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기업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지방은행들은 예대율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예대율은 98.4%~99.2% 수준으로 기준점인 100%에 육박하고 있었다. 신한은행의 예대율이 12월 평잔기준으로 99.2%였고, KB국민은행은 지난해 3분기 기준 99.1%였다. 같은 시기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예대율은 98.4% 수준이었다.

현행법에서는 은행의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의 비율을 의미하는 예대율을 100% 미만에 맞춰야 한다. 시장성 수신에 의존한 과도한 자산성장 억제 등을 위해서 대출금을 예수금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다. 지난 2012년 7월 도입됐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예대율 산정비율에 차등을 두기로 했다. 가계부채를 관리하고 기업대출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조정한다는 것으로 예대율 산정시 가계대출의 가중치는 상향(15%)하고, 기업대출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하향(-15%)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부터 적용한다.

이렇게 되면 예대율이 99%를 넘어선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100%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 두 은행 모두 예대율 가중치 적융시 초과되는 비율을 현재 산정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에서는 업계 전체로 평균 예대율이 기존 96.8%에서 97.5%로 0.7%p 상승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11조원의 추가 예수금 조달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했다.

금융권에서는 이를 4대 시중은행만으로만 놓고 계산한 결과, 예대율은 98.4%에서 99.5%로 1.1%p 높아지고, 8조8000억원의 추가 예수금 조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시중은행들은 예수금 조달을 늘려 서 예대율을 다시 하락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이자비용이 증가하면서 순이자마진(NIM)은 하락이 점쳐진다.

은행의 입장에서 높아진 예대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예수금을 확대하거나 가계대출을 축소해야 하는데, 예수금 확대를 위해서는 조달비용 상승이 불가피하고 이는 NIM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중 KB국민은행은 가계대출 비중이 54.8%(3분기말 기준)로 다른 3개 은행에 비해 더 높다. 그만큼 예대율 초과가 예상되고, 예수금 조달도 더 해야 한다. KB국민은행과 업계 리딩뱅크를 다투고 있는 신한은행은 같은기간 가계대출 비중이 50.2%로 KB국민은행 보다는 조금 여유가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에서는 KB국민은행이 허인 은행장의 취임 첫해 리딩뱅크의 위상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신한과의 경쟁은 불가피하다고 본다"며 "(예대율 가중치 변화로) 올해 포트폴리오 구성이 더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예대율 산정기준 변경으로 시중은행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진 반면 지방은행들은 금융당국의 방안이 수익확대 기회를 줄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행의 특성상 기업대출 비중이 가계대출보다 높아서 예수금 조달을 줄 일 수 있어서다. 실제로 BNK, DGB의 경우 예대율이 오히려 5~6%p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예측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궁극적으로 예대율 하락은 지방은행들에게 NIM 상승 없는 순이자이익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며 "지방은행 순이자이익 증가는 세전이익으로 볼때 앞으로 향후 2~3년에 걸쳐 9% 증가하는 순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다른 관계자도 "가중치 차등화 이후 예대율이 89%와 92%대로 하락하는 DGB금융과 BNK금융 등은 자본비율 등 다른 제약 조건들을 배제할 경우 기업대출 증가 여력이 이론적으로 4조6000억원과 6조6000억원에 달한다"며 "대출 가격 경쟁력에서 상대적 우위를 점할 수 있어서 시중은행에 비해 유리한 조건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03:53

100,513,000

▲ 1,157,000 (1.16%)

빗썸

03.29 03:53

100,349,000

▲ 1,278,000 (1.29%)

코빗

03.29 03:53

100,274,000

▲ 889,000 (0.89%)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