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8
10.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0.5 -0.5
EUR€ 1457.2 -5.6
JPY¥ 892.0 -0.7
CNY¥ 185.9 -0.3
BTC 100,477,000 246,000(0.25%)
ETH 5,090,000 34,000(-0.66%)
XRP 883.6 6.1(-0.69%)
BCH 815,400 111,000(15.76%)
EOS 1,514 16(-1.0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화학업계 하반기 성패, "신성장동력에 달렸다"

  • 송고 2017.08.17 14:47 | 수정 2017.08.17 14:49
  • 최수진 기자 (csj890@ebn.co.kr)

미국 물량 유입 등으로 기초화학사업 실적 유지 수준

LG화학 배터리, 롯데케미칼 엘라스토머, 한화케미칼 태양광 등 신사업 성장에 이목 집중

LG화학 오창공장 배터리 생산라인. [사진=LG화학]

LG화학 오창공장 배터리 생산라인. [사진=LG화학]

상반기 무난한 성적을 거둔 화학업계가 하반기 실적 향상의 키로 각사의 신성장동력 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17일 화학업계에 따르면 주요 화학업체들은 2분기 다소 주춤했던 실적이 하반기에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화학은 2분기 영업이익 7269억원을 기록하면서 상반기 총 1조5238억원의 높은 실적을 거뒀다. 6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 기록을 갈아치운 것. 롯데케미칼은 2분기 영업이익이 다소 줄었지만 상반기 영업이익이 총 1조4000억원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 성적을 거뒀다.

한화케미칼도 상반기 총 415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전년동기 대비 200억원 가량 축소됐지만 정유업계가 2분기 저유가 영향으로 직격탄을 맞은 것에 비해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업체들은 2분기 제품가격 하락 및 스프레드 축소가 하반기 들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기초 화학사업의 실적 변화는 크지 않은 가운데 배터리, 태양광 등 신사업이 하반기 실적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했다.

교보증권은 미국의 ECC 증설 효과에 따른 에틸렌 가격 안정과 PE 스프레드 둔화를 예상하면서 저유과 고착화로 인한 순수화학의 실적 차별화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순수 화학 실적이 견조한 가운데 신성장동력 사업에서 얼마나 성공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라는 것.

LG화학의 신성장동력 중 단연 이목을 끄는 것은 배터리 사업이다. LG화학은 2분기에 6분기 만에 적자에서 탈출하면서 한시름 덜었다. LG화학은 화학산업 호황기에도 배터리 부문에서 적자가 거듭되면서 화학업계 1위 자리를 롯데케미칼에 넘겨주기도 했다.

올해 LG화학은 배터리 부문의 연간 흑자를 전망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도 LG화학 배터리가 탑재된 볼트EV의 미국 판매, 르노의 ZOE의 판매 호조, 올해 하반기 유럽 배터리 공장 가동 등 호조가 이어지면서 중국에서의 아쉬움을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범용 제품 위주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제품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집중 투자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2013년 이탈리아의 베르살리스와 합작사 '롯데베르살리스 엘라스토머스'를 세우고, 고부가가치 합성고무 SSBR(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설비를 여수에 구축해 올해 상업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료=교보증권]

[자료=교보증권]

한화케미칼의 경우 하반기 태양광 패널 가격 상승에 따른 수혜도 기대해볼 수 있다. 미국이 오는 11월 13일 태양광 세이프가드 조치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를 발표하기 때문.

손영주 교보증권 연구원은 "지난 2012년 12월 미국의 중국산 모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2013년 7월 유럽의 중국산 모듈에 대한 최저가격제 적용 등을 거치면서 모듈 가격이 20% 급등한 적이 있었다"며 "이번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로 추가 관세 부과가 결정될 경우 중국산 외 모듈 수입 증가로 인해 관세 인상분만큼 모듈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8 20:47

100,477,000

▲ 246,000 (0.25%)

빗썸

03.28 20:47

100,381,000

▲ 192,000 (0.19%)

코빗

03.28 20:47

100,383,000

▲ 142,000 (0.1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