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19
8.1℃
코스피 2,656.84 29.0(-1.08%)
코스닥 890.12 4.36(-0.49%)
USD$ 1337.6 1.1
EUR€ 1453.9 0.7
JPY¥ 896.0 -0.4
CNY¥ 185.6 0.1
BTC 97,700,000 1,329,000(-1.34%)
ETH 5,050,000 221,000(-4.19%)
XRP 914.8 17.3(1.93%)
BCH 569,400 14,600(-2.5%)
EOS 1,398 72(-4.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CEO UP&DOWN 365]김동욱 골든블루 대표 "순한 위스키로 주류시장 판 바꾼다"

  • 송고 2017.06.24 00:30 | 수정 2017.06.23 18:54
  • 구변경 기자 (bkkoo@ebn.co.kr)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과 취약지역의 영업력 확대 '박차'

"'코리안 위스키' 개발로 토종 위스키 자존심 지켜낼 것"

ⓒ골든블루

ⓒ골든블루

위스키 시장이 9년째 내리막이다. 수십년간 주류시장을 호령하던 글로벌 위스키 회사들이 극심한 경기침체로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임대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강남에 위치한 사옥을 강북 등으로 이전하는 등 후유증을 앓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시장 침체에도 가벼워진 술문화 트렌드를 타며 무서운 성장세를 보여주는 잘나가는 위스키업체가 있다. 부산에 근간을 두고있는 토종위스키 회사 골든블루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위스키 시장의 부산갈매기로 통하는 골든블루의 수직성장 중심엔 단연 김동욱 대표가 자리한다. 우선 식품·유통업계를 통틀어서 몇 안되는 '사위 경영인'이라는 이력이 눈에 띈다. 김 대표는 자동차 부품업체 대경 T&G에서 장인 박용수 골든블루 회장과 함께 경영을 해오다가 2011년 박 회장이 골든블루(舊 수석밀레니엄)를 인수하면서 자동차와는 전혀 다른 위스키 시장에 뛰어들었다.

술장수(?)로 변신한 김 대표는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골든블루의 성장을 주도하며 주류업계에서 탁월한 경영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작년에는 위스키업계 3위였던 골든블루를 2위로 올려놓았다. 디아지오, 페르노리카 등 글로벌 위스키 업체들이 선점한 국내 시장에 '부산갈매기' 골든블루가 지각변동을 일으킨 것.

이 때문에 그는 경쟁 위스키사로 부터 경계 대상 1호 인물로 낙인(?) 찍혔고, 그의 일거수 일투족은 메스컴의 주요 뉴스를 장식하는 등 주류업계에서 잘나가는 뉴스메이커가 됐다. 그가 마케팅과 영업 등에 공격적이면서도 겸손과 낮은 자세를 잃지 않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저도 위스키 돌풍 넘어 신제품 호조·영업력 확대 '순항 中'
2011년 김 대표는 알코올 도수 40도가 주류를 이루던 스카치 위스키 시장에서 도수를 확 낮춘 36.5도의 '골든블루'로 차별화에 성공했다. 실제 골든블루는 출시 8년 만에 누적 판매량 2000만병 이상을 돌파했다. 이로써 골든블루는 현재 국내 위스키 시장에서 2위의 점유율을 기록중이다.

골든블루의 이같은 인기는 독주를 기피하는 시장의 니즈와 골든블루의 마케팅 포인트가 잘 맞아 떨어지면서 김 대표의 예측 능력이 적중했다는 평가다. 반면 40도 이상 위스키는 올 1~5월 35만9609상자(1상자 9ℓ)를 기록해 전년동기(46만8690상자)대비 23.3%나 급감하며 저조한 실적을 냈다.

골든블루는 이같은 저도 위스키 돌풍에만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5월 출시한 국내 최초 화이트 위스키 '팬텀'의 성장세가 거침없다. 회사 측에 따르면 팬텀 판매량은 지난해 5월 출시 당시에는 한 달동안 약 300상자(9ℓ케이스)에 그쳤지만 올해 4월에는 1600상자, 5월에는 2000상자까지 돌파했다. 팬텀 브랜드는 화이트 위스키인 '팬텀 더 화이트'와 35도 저도 위스키인 '팬텀 디 오리지널'로 구성돼 있다.

ⓒ골든블루

ⓒ골든블루

김 대표는 골든블루의 성장 주역인 저도 위스키 '골든블루'와 신성장동력인 '팬텀' 투트랙 전략으로 위스키시장 1위를 노리고 있다.

김 대표가 작년부터 "취약지역의 영업력 확대를 통해 국내 위스키 시장 1등 브랜드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던 부분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0월 유흥 1번지인 강남구에서 '골든블루 다이아몬드'가 디아지오의 '윈저 17년'을 제친 이후 제주, 강원, 전북, 전남 등 총 4개 지방에서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전북의 경우 지난해 12월 12%이던 골든블루 시장점유율이 올해 5월엔 19%, 11%였던 전남은 18%까지 치솟는 등 점유율 오름세가 뚜렷했다. 또 제주지역 내 시장점유율은 16%에서 19%, 강원은 16%에서 20%로 각 3~4%p 올랐다.

김 대표는 아직까지 골든블루가 지방지역에서 영업력이 취약한 만큼 밀착 마케팅을 통해 2020년까지 1등 위스키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김 대표는 "제주 지역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한 후에는 지역밀착 마케팅을 호남권으로 확대해 전국 어디서나 찾을 수 있는 브랜드로 만들어 2020년까지 1위 위스키로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글로벌 위스키 필적할 '코리안 위스키' 개발 성공할까
김 대표의 장기적인 과제는 또 있다. 증류부터 저장, 병입까지 모든 위스키 제조과정을 국내에서 하는 '코리안 위스키'를 개발하겠다는 원대한 목표다.

김 대표는 지난해 5월 '팬텀 더 화이트'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코리안 위스키' 개발 착수를 선언했다. 일본에 가면 사케가 있고, 독일에 가면 맥주가 있는데 국내에는 한국을 대표할 만한 술이 없다는 아쉬움에서 이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1970~1980년대 백화양조, 진로·오비씨그램 등 국산 위스키 원주와 수입 위스키를 블렌딩해 선보였지만, 1991년 주류시장 개방 이후에는 자취를 감췄다는 것도 김 대표가 개발에 착수하게 된 이유다.

김 대표는 지난해 12월 코리안 위스키 개발 프로젝트의 첫 활동으로 '마스터블렌더' 육성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마스터블렌더는 다양한 위스키 원액을 블렌딩해 새로운 제품을 창조하는 위스키 업계의 핵심 인재다. 이들은 수백 종에 달하는 향과 미묘한 맛을 구분하고 위스키 원액이 가지는 본질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전세계에서도 희소성 있는 직업으로 꼽힌다.

골든블루는 한국 위스키 시장의 발전과 최고의 위스키를 만들겠다는 목표아래 2명의 학생을 선발해 세계적인 마스터블랜더를 배출한 스코틀랜드의 해리엇와트 대학교(Heriot-Watt University)에서 양조·증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매년 신청자를 모집해 체류비, 항공비 등 전액을 부담한다는 방침이다.

김 대표는 "국내 최초 저도 위스키, 무연산 위스키, 화이트 위스키 등 혁신적인 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수입 위스키 업체들의 견제에 시달렸지만 제대로 된 품질과 맛으로 소비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며 "20~30년이 걸리더라도 제대로 된 '코리안 위스키'를 만들어 토종 위스키 브랜드의 자존심을 지켜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56.84 29.0(-1.08)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19 11:14

97,700,000

▼ 1,329,000 (1.34%)

빗썸

03.19 11:14

97,199,000

▼ 1,462,000 (1.48%)

코빗

03.19 11:14

97,308,000

▼ 1,441,000 (1.4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