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5.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0.0 -1.0
EUR€ 1458.3 -4.5
JPY¥ 892.2 -0.5
CNY¥ 185.9 -0.3
BTC 101,007,000 1,874,000(1.89%)
ETH 5,075,000 44,000(0.87%)
XRP 901.7 18.8(2.13%)
BCH 810,200 34,000(4.38%)
EOS 1,520 4(-0.26%)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분양 아파트의 눈물…'중도금 대출' 장벽에 안절부절

  • 송고 2017.03.14 13:05 | 수정 2017.03.14 13:08
  • 서영욱 기자 (10sangja@ebn.co.kr)

미국 기준금리 인상 예고…"중도금 대출 어쩌나"

1금융권 중도금대출 3.9%대 추가 인상 가능성 '우려'

서울의 아파트 단지 전경 ⓒEBN

서울의 아파트 단지 전경 ⓒEBN

미국이 이르면 15일 첫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이면서 국내 부동산시장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이미 금융권의 집단대출 옥죄기로 중도금 대출을 구하지 못하는 사업장이 늘고 있어 추가 금리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예고된다.

14일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계부채는 1344조원을 넘어섰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8월부터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1월 현재 상호금융권은 6%를 상회하고 있다.

상호저축의 신규 취급액 기준 주택 담보대출 금리도 지난해 11월부터 상승세로 전환돼 1월 현재 3.56%까지 상승했다. 특히 신협, 농협 등 상호금융권의 주택 담보대출 금리는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1월 현재 6.09%까지 올라 빚내서 집 사기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집단대출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집단대출 평균 금리는 작년 6월 2.94%에서 9월 2.90%로 다소 낮아졌으나 작년 말에는 3.16%로 껑충 뛰며 중도금 집단대출 은행을 구하지 못하는 단지가 속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부터 이달 14일까지 중도금 1회차 납부일이 도래한 123개 아파트 단지 중 13곳은 중도금 대출 조달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금 대출을 받은 110곳 중 1금융권에서 중도금을 조달한 곳은 68곳, 2금융권은 52곳이었다. 대출 금리가 확인된 1금융권 36곳의 평균 금리는 3.90%였다.

높은 금리로 대출 은행을 찾지 못해 중도금 납부기일을 연기하는 단지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중도금 대출 이자를 연 4%를 넘어 5%대까지 요구하면서 '중도금 대출 이자 폭탄'이 현실화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주택협회에 따르면 은행권의 가산금리 인상 등으로 중도금 집단대출의 금리는 지속 상승해 시중은행은 3.46~4.13%, 지방은행 및 특수은행은 4.2~4.3%, 제2금융권은 3.88~4.5% 수준까지 올랐다.

지난해 5월 기준 협회의 은행권별 대출금리 조사 결과 보다 0.26~0.70%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실수요자 금융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해 향후 계약포기 등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주택협회 관계자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중은행과 한국은행이 시장 충격을 대비해 선제적으로 가산 금리 인상을 반영할 가능성 크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금리 인상은 집단대출과 직결돼 중도금대출 금리가 더 올라갈 수 있다"며 "금융권의 대출 행태가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건설사들은 높은 금리로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현금이 풍부하지 않은 실수요자들의 경우 주택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워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토교통부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지난 1월 디딤돌대출 금리를 0.15~0.25%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디딤돌대출은 2014년 1월 출시 이후 서민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그간 3차례 대출금리를 인하(총 0.7%p)해 최근 역대 최저 수준(연2.1~2.9%) 으로 운영 중이 었지만 지난해 말 미국이 한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하며 조정이 불가피했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 한 해 주택금융 시장 관련 위험 요인이 확대되면서 주택 금융 정책의 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며 "다만 분양이 완료된 집단대출 등 이용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운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03:08

101,007,000

▲ 1,874,000 (1.89%)

빗썸

03.29 03:08

100,918,000

▲ 1,980,000 (2%)

코빗

03.29 03:08

100,950,000

▲ 1,971,000 (1.99%)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