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6.7℃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3,300,000 2,554,000(2.81%)
ETH 4,467,000 88,000(2.01%)
XRP 739.5 25.8(3.61%)
BCH 701,600 20,400(2.99%)
EOS 1,153 67(6.1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서민 시름은 커지는데"…'물가폭등'에 대책없는 정부

  • 송고 2017.02.21 10:52 | 수정 2017.02.21 11:17
  • 서병곤 기자 (sbg1219@ebn.co.kr)

1월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 6년來 최고…생활물가 급등 가능성 점증

정부, 대책없이 물가안정세 기대감에만…"국민부담 가중 외면" 빈축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연합뉴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연합뉴스


[세종=서병곤 기자]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고공행진 중인 생활물가가 더욱 오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전망에도 불구 정부는 이렇다할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서민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2.17로 전달(100.85)보다 1.3% 상승했다.

이는 2014년 12월(103.11)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해 8월부터 연속 6개월 상승세다.

특히 1월 지수의 전월대비 상승률(1.3%)은 2011년(1.5%)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다.

품복별로는 축산물이 전월보다 6.3% 오르는 등 농림수산품이 4.0% 상승했다. 이중 AI(조류 인플루엔자) 파동으로 계란값이 무려 113.5%나 급등했다. 무와 배추 역시 88.9% 올랐으며, 냉동오징어와 물오징어도 각각 66.0%, 58.2%씩 올랐다.

공산품의 생산자물가(1.9%)도 상승했다.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경유가 59.0% 상승한데 이어 나프타 46.5%, 벙커C유는 35.2% 상승했다. 이밖에 도열연강판와 선철도 각각 45.8%, 25.1%씩 상승했고, TV용 LCD도 무려 31.4%나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보여주는 통계로, 추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마디로 생산자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 증가로 이어진다는 얘기다.

실제로 작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100.79)는 전월대비 0.8% 상승했는데 한 달 뒤 소비자물가지수도 비슷한 상승폭을 보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7% 오른 102.43을 기록했다.

이중 계란·돼지고기·소고기 등 축산물의 경우 작년 12월 5.1%에서 지난달 9.5%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유통업계에서는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 상승에 따라 소비자물가가 더 오르거나 현재 상승폭을 키울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연이은 물가급등에 울상 짓는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그럼에도 정작 정부는 물가상승 억제를 위한 뾰족한 대책 하나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향후 물가가 안정세를 되찾게 될 것이란 기대에 목을 메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달 물가는 작년 1월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와 무·달걀·배추 가격 등이 오른 일시적 요인 영향이 컸다"면서 "유가의 경우 1월 이후 꾸준히 올라 기저효과가 줄어들고, 봄 채소 출하로 농산물 가격도 안정되면 올해 전반적인 물가 수준은 정부 전망과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현재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을 외면한 채 복지부동하고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게다가 일부 전문가들에게는 정부의 미흡한 물가관리가 작금의 상황을 초래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배근 건국대 교수는 "물가상승은 지난 4~5개월 전부터 이어져 온 것이다. 정부가 그동안 물가 급등을 방치했다가 설 명절이 임박해서야 관리에 나섰다"며 정부의 늦장대응을 질타했다.

이어 "하위 계층을 중심으로 명목소득이 감소한 상황에서 신선식품의 가격이 더 상승한다면 소비위축을 부추겨 경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10:44

93,300,000

▲ 2,554,000 (2.81%)

빗썸

04.20 10:44

93,149,000

▲ 2,587,000 (2.86%)

코빗

04.20 10:44

93,106,000

▲ 2,414,000 (2.6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