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10.1℃
코스피 2,749.85 4.03(0.15%)
코스닥 905.48 4.57(-0.5%)
USD$ 1346.0 -5.0
EUR€ 1450.6 -7.0
JPY¥ 889.7 -2.8
CNY¥ 185.5 -0.6
BTC 100,101,000 443,000(0.44%)
ETH 5,069,000 20,000(0.4%)
XRP 879.8 5.2(0.59%)
BCH 820,100 50,100(6.51%)
EOS 1,606 105(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갤노트7 조사결과](종합)배터리 결함…"다중안전장치 등 재발 방지책 수립"

  • 송고 2017.01.23 10:29 | 수정 2017.01.23 14:28
  •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모든 프로세스 전반 종합적 재발방지 대책 수립

'부품 전문팀' 구성 외부 전문가 영입…객관적 평가 장치 마련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고동진 사장이 23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갤럭시 노트7 결함 원인 발표 기자회견을 하기에 앞서 인사하는 모습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고동진 사장이 23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갤럭시 노트7 결함 원인 발표 기자회견을 하기에 앞서 인사하는 모습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은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분석됐다.

삼성전자는 노트 7에 채용된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고, 다중안전장치 도입 및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부품전문팀 구성 등 종합적인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했다.

삼성전자는 23일 서울 서초사옥에서 국내외 언론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갤럭시노트7 소손 원인'을 공개,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고동진 사장은 "그동안 고객, 통신 사업자, 유통 거래선, 협력사 모든 분들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죄송하다"면서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노트7 소손의 원인을 철저히 밝혀내고 개발 제조 검증 등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소손 원인 조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UL, Exponent, TÜV 라인란드 등 해외 전문기관에서도 독립적 조사를 진행했다. UL의 컨슈머비즈니스 부문 사지브 지수다스 사장, Exponent의 수석 연구원 케빈 화이트(Kevin White) 박사, TÜV 라인란드 홀거 쿤츠 부사장이 참석해 각각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소손 원인에 대한 개선 외에 배터리 내부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특수 장비를 도입했다. 배터리와 완제품에 대한 대량 충방전 테스트,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가속 시험도 강화하는 등 '8 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또 삼성전자는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검증-공정관리 등을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하는 등 부품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한다.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다중 안전 장치'를 적용할 방침이다.

갤노트7 대량 충방전 검사 장면 [제공=삼성전자]

갤노트7 대량 충방전 검사 장면 [제공=삼성전자]

아울러 배터리 실장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 '소비자가 사용 중 제품을 떨어뜨리는 경우 배터리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는 한편 배터리에 대한 안전 설계 기준도 강화했다.

더불어 충전 온도·전류·충전속도에 대한 보다 안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등 소프트웨어 보호책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학계와 연구기관의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해 제품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도 구축했다.

캠브리지대학교 클레어 그레이 박사, 버클리대학교 거브랜드 시더 박사, 스탠포드대학교 이 추이 박사, 아마즈 테크컨설팅 CEO 토루 아마즈쓰미 박사 등 리튬 이온 배터리 관련 전문가들을 자문단으로 위촉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교훈을 통해 업계 전체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다중 안전 설계와 검증 프로세스 등을 관련 단체에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은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분석됐다.

고동진 사장은 "지난 수 개월 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에서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실시했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대규모의 재현 테스트 설비를 구축해 사용자 조건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충방전 테스트를 통해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홍채인식 기능이 노트7 소손 원인인지 조사하기 위해 검사하는 모습 [제공=삼성전자]

홍채인식 기능이 노트7 소손 원인인지 조사하기 위해 검사하는 모습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 노트 7에 채용된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난 것을 확인했다.

이번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분석에 참가한 해외 전문기관들 분석 결과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모아졌다.

전세계 안전 인증분야의 선도기업인 글로벌 과학회사 UL은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규명을 위한 상세한 기술적 분석을 진행했다.

UL은 제품 레벨에서 노트7 소손과 연관된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A배터리는 배터리 위쪽 코너에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으로 배터리 내부 단락을 발생시켜 소손 유발 요인으로 분석했다. B배터리에 대해서는 비정상 융착돌기,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의 조합이 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을 발생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과학기술 분야 분석 전문 기관 Exponent는 "제품 전반에 걸친 상세한 분석을 진행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석에서는 소손과 관련 있는 요인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A배터리는 음극탭 부위 젤리롤 코너의 눌림 현상을 소손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B배터리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융착 돌기와 그로 인한 절연 테이프와 분리막 파손을 내부 단락을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독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검인증 기관 TÜV 라인란드는 배터리 물류 시스템과 폰 조립 공정 운영 상의 배터리 안전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TÜV 라인란드는 "심사한 폰 제조 공정과 배터리 물류 시스템에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고동진 사장은 "혁신적인 노트7을 만들기 위해서 배터리 사양에 대한 목표를 제시했다.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 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 경영 전반에 걸쳐 품질 최우선의 경영 체제를 강화해 제품 안전성에 있어 새로운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EBN 손병문·권영석·문은혜 기자]


◇갤럭시 노트7 주요 경과
- 2016년 8월 2일 갤럭시 노트7 공개 (미국 뉴욕)
- 2016년 8월 19일 갤럭시 노트7 공식 출시
- 2016년 9월 2일 갤럭시 노트7 교환 프로그램 공식 발표
- 2016년 9월 15일 미국 CPSC, 갤럭시 노트7 리콜 발표
- 2016년 10월 1일 갤럭시 노트7 판매 재개
- 2016년 10월 11일 갤럭시 노트7 생산 중단, 판매/교환 중단
- 2017년 1월 23일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조사 결과 발표.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9.85 4.03(0.1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14:59

100,101,000

▲ 443,000 (0.44%)

빗썸

03.29 14:59

99,983,000

▲ 423,000 (0.42%)

코빗

03.29 14:59

100,063,000

▲ 433,000 (0.4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