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8
10.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1.0 0.0
EUR€ 1455.9 -6.9
JPY¥ 892.1 -0.6
CNY¥ 186.0 -0.2
BTC 100,153,000 47,000(-0.05%)
ETH 5,082,000 26,000(-0.51%)
XRP 882.6 4.1(-0.46%)
BCH 803,900 104,100(14.88%)
EOS 1,506 19(-1.2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e-finance]무리한 투자보단 원금을 키워라

  • 송고 2014.07.17 08:00 | 수정 2014.07.16 12:00
  • 데스크 기자 (press@ebn.co.kr)

김탁규 기업은행 PB고객부 과장

김탁규 기업은행 PB고객부 과장

좀처럼 금리의 방향성이 바뀌지 않고 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로 인한 글로벌 유동성 축소,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의 회복 등으로 반등하리라 예상했던 금리는 오히려 상반기 동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혹자의 경우 미국의 초저금리 정책이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 절반 넘게 흐른 2014년뿐만 아니라 2015년까지도 금리 상승세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곤 한다. 바야흐로 저금리 시대의 도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저금리 시대에는 재테크를 통해 큰돈을 벌겠다는 마인드는 잠시 접어둠이 바람직하다. 예금과 같이 안정적인 상품에 가입하자니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 성과물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게 되기 십상이며 고수익을 쫓아가자니 원금마저 잃을 위험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금리 시대의 재테크는 결혼비용 마련, 주택 마련과 같은 재무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또는 소득이 충분히 발생하는 시기의 잉여소득을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시기, 즉 노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이연ㆍ증식한다는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저금리라는 재테크 환경을 고려해보았을 때 장기간을 대상으로 재무목적을 설계하고 설계한 목적별로 매월 들어오는 소득을 분할해 예치하는 것이 재테크 성공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금리 시대에는 재테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금융소득이 적을 수밖에 없다. 이 때 무리하게 수익을 키우기 위해 무턱대고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많은 돈을 투자할 경우 원금 손해를 입을 확률 역시 높아지게 된다.

무리한 투자로 인한 원금 손해는 또다시 무리한 투자를 불러오는 만큼 과실(금융소득)에 집중하는 재테크보다는 파이(원금)를 키우는 재테크에 집중함이 바람직하며 재무목적을 설정해 목적 달성에 소요되는 돈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삼고 되도록 일찍 준비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차량 구입, 결혼비용 마련 등을 재무목적으로 설정한 경우 매월 소득의 10%는 차량구입 자금, 25%는 결혼비용 마련 자금과 같은 식으로 매월 소득의 일정 부분을 목적별로 구분해 꾸준히 저축하되 반드시 그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특히 평균 수명 100세 시대의 도래에 대비하기 위해 은퇴 후 사용할 노후자금은 목적자금으로 반드시 설정, 되도록 일찍부터 준비하도록 한다. 도래하는 기간이 긴 재무목적일수록 얼마나 보다는 언제 시작하는지가 중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어느 상품에 투자해야 할지 역시 성공적인 재테크로 가는 중요한 과정이다.

단기 재무목적의 경우 안정성이 높은 예금 또는 적금을 통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대수익률이 높은 주식형 펀드에 매월 일정금액을 꾸준히 적립하는 적립식 투자의 경우 위험을 어느 정도 분산 가능하며 통계상 주식형 펀드에 3년 이상을 꾸준히 적립하면 원금손실 가능성이 확연히 감소하는 만큼 3년 이상의 기간을 두고 준비해야 하는 목적자금의 경우 주식형 펀드에 꾸준히 적립하는 방법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것으로는 세제적격연금저축만한 것이 없다. 해당 상품은 매년 적립액 기준 400만원까지 1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만 55세 이후 수령시 이를 연금소득으로 보아 이자소득세 14%보다 낮은 5%로 과세하는 등 여러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상품이다.

매월 33만원씩 세제적격연금저축에 납입하는 경우, 매년 최대 52만 8천원(지방소득세 포함)을 연말정산시 세액공제 받을 수 있으므로 해당 세액공제액을 내 노후를 위한 1개월 반치의 정부 지원금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혜택을 충분히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재테크는 습관이다. 지나치게 재테크 결과물에 대한 욕심을 부리는 것 보다는 올바른 재테크 습관을 들이는 것이 더 중요함을 상기하고 긴 호흡으로 가져가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확률 역시 높아짐을 잊지 말자.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8 19:26

100,153,000

▼ 47,000 (0.05%)

빗썸

03.28 19:26

100,007,000

▼ 103,000 (0.1%)

코빗

03.28 19:26

100,118,000

▲ 68,000 (0.0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