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4.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0.0 -1.0
EUR€ 1458.3 -4.5
JPY¥ 892.2 -0.5
CNY¥ 185.9 -0.3
BTC 100,795,000 1,564,000(1.58%)
ETH 5,067,000 19,000(0.38%)
XRP 891.8 4.9(0.55%)
BCH 810,700 25,800(3.29%)
EOS 1,520 16(-1.0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칼럼]차기 포스코 회장, 정부가 나설 자격있나

  • 송고 2009.01.15 15:42 | 수정 2011.11.23 14:35
  • 송남석 부국장 (song651@ebn.co.kr)

박태준 회장(김영삼 정부), 김만제 회장(김대중 정부), 유상부 회장(노무현 정부)에 이어 이구택 회장마저 이명박 정부 들어 임기를 1년여 남겨둔 채 포스코 회장에서 하차했다. 언제부터인가 포스코 회장은 정권따라 보따리를 싸야하는 자리로 전락해 버렸다. 조강생산량 기준 세계 3~4위권을 오르내리고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철강기업 총수의 초라한 현실이다.

특히 적법 절차를 거쳐 선임된 민간기업 최고경영자가 뚜렷한 공과나 납득할만한 이유조차 없이 임기 도중에 물러난다는 것은 분명 어이없는 일이다. 물론 ‘본인의 뜻’이라고는 했지만 ‘기업하기 좋은나라’란 타이틀 아래 ‘친기업 정책’을 펴겠다던 이명박 정부마저 과거의 악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기까지 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차기 회장이 누가 되든 기업 경영보다 정권의 눈치나 살피는 CEO가 나오지 말란 법도 없을 법하다. 포스코 내부에서조차 “국회의원들까지 포스코 예산을 자기 주머니 돈 관리하듯 한다”는 자조섞인 얘기까지 터져 나오는 이유다.

결국 이번 이구택 회장의 석연치 않은 사퇴로 인해 포스코는 또 다시 ‘주인없는 거대 민간기업’이란 오명을 뒤집어 쓰게 됐다. 포스코가 어떤 기업인가. 산업의 쌀인 철강재를 생산하는 기초 소재전문 생산기업이자 세계가 욕심낼만한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 대표기업이다. 지난해 포스코 40주년엔 10년 후, 철강 70조원과 철강외 사업 30조원 등 매출 100조원 달성의 비전을 공개한 기업이다.

사실 이구택 회장 사퇴얘기는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 꾸준하게 거론돼 왔다. 일부에서는 역대 회장들의 전철을 거론하면서, 또 일부에서는 공기업 CEO물갈이 과정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확대 재 생산되기도 했다. 출처는 한결같이 정치권이었다. 포스코의 대한 경영에 대한 문제나 지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 회장의 이번 사퇴를 정치적인 문제로 보는 이유로 보는 이유다.

태생이 공기업이었다는 이유로, 한 때 산업자원부로부터 제품가격을 통제받았던 적이 있다는 이유로 한 기업의 인사를 정부가 좌지우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분명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포스코는 공기업으로 출발했지만 이미 민영화된지 오래다. 또 이번 이 회장의 사퇴문제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 청와대 측의 공식 입장이다. 사실이야 어떻든 이제 남겨진 과제는 차기 포스코 회장 선출문제다. 어떤 식으로든 정부의 입김은 분명히 배제되는 것이 옳다. 벌써부터 차기 회장으로 정치권 인물들이 거론되면서 각종 설들이 또 다시 난무하고 있다.

이제 공식적으로 차기 포스코 수장은 사외이사로 구성된 ‘CEO 추천위원회’로 넘어가게 됐다. 차기 포스코 회장은 이사회 추천과 정기주주총회를 거쳐 빠르면 설 연휴 이전에는 결정될 공산이 크다. 최종 윤곽은 ‘CEO 추천위원회’와 ‘포스코 이사회’를 통해 드러나게 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낙하산 인사’가 끼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위원회나 이사회가 정부의 거수기 역할로 전락하느냐와 정부의 보이지 않는 힘이 또 다시 작용하느냐의 여부가 관전 포인트다. 정부의 의지와 포스코 이사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포스코 임직원들의 명예와 자긍심이 달려있고 기업의 국제 신인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요인이기 때문이다.

포스코 회장직은 정권에 따라 바뀌는 전리품이 아니다. 특히 외부 인사가 정치적 줄을 타고 임기만 채우고 돌아가는 편안한 자리는 더더욱 아니다. 글로벌 거대기업들과 시시각각 생존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하는 어렵고 힘든 자리다. 자칫 외부 인물이 선정돼 정책적 실기를 할 경우 포스코 자체의 생존여부도 장담할 수 없다. 업무파악에만 시간을 보내며 수박 겉핥기식의 경영으론 포스코는 물론 대한민국의 미래까지도 흔들릴 수 있다.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포스코가 정부로 인해 흔들려서는 안된다. 또 정부가 개입할 계제도 아니고 그럴만한 시대도 아니다. 차기 포스코 회장 선출, 결국 ‘CEO 추천위원회’와 ‘포스코 이사회’의 판단에 달렸다.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지 포스코 임직원들은 물론 산업계와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자주적이고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본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05:05

100,795,000

▲ 1,564,000 (1.58%)

빗썸

03.29 05:05

100,682,000

▲ 1,629,000 (1.64%)

코빗

03.29 05:05

100,637,000

▲ 1,513,000 (1.5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